통계

전문교사 부족한데 ‘코딩’ 교과 필수?... 코딩 사교육 심화· ‘코포자’ 양산 우려

신제인
[디지털데일리 신제인 기자] 교육부가 오는 2025년부터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코딩 교육을 필수화 할 계획을 밝혔다.

‘코딩’이 필수 과목으로 지정되고 평가에 들어서면 아이들이 원치 않는 사교육도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지난 22일, 교육부는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마련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5년부터 초∙중학교에서는 기존보다 2배 늘어난 정보교과 시수 안에서 코딩을 필수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초등학교는 34시간 이상, 중학교는 68시간 이상 정보교육이 이뤄져야 하며, 중학생의 경우 시험도 치른다는 방침이다.

논란의 원인은 이 같은 정책이 학교와 학생들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기존에는 선택과목 중 하나였던 정보 교과가 필수가 됨에 따라 학교 입장에서는 수업 시수와 교원 확보 등의 문제에 봉착하고, 학생들의 경우 학업 부담감이 커진다는 것이다.

교육계 일각에선 ‘정책 당사자와 충분한 논의 없이 지난 발표를 뒤엎는 결정을 강행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확대한다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맞지 않다는 설명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는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 시 초등학교 3∼6학년에서 학교선택과목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라며, “정보를 한 학년에 34시간씩 하려면 학교선택과목을 모두 정보교육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으론 교원 확보 대책도 아직 충분히 마련되지 못한 상태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중학교(3172개교) 중 정보교과 교사가 배치된 학교는 1510개교(47.6%)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순회교사나 시간강사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부전공 교사 등 정보교사 역량을 가지고 있는 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지만 다소 무책임한 대안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필수’ 교과목에 대한 교내 전문 교사’의 부재는 곧 사교육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또 다른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서울과 지방간 교육 수준의 편차도 심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과목 지정에 앞서 보다 구체적인 임용 계획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모든 학생이 코딩 교육을 받아야 하는 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코딩과 같은 기능적인 학습보다 ‘디지털 문해력’ 등의 인문학적 소양이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대비하는 데 더욱 필요하다는 이유를 든다.

또 컴퓨터 공학과 전공자들이 배웠던 코딩은 ‘타고난’ 사람들이 선택하는 영역이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이공계 내에서도 호불호와 노력의 한계가 극명한 분야로 손꼽힌다. 코딩 교육을 너무 쉽고, 안이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학생들의 소질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교육이 오히려 제 2의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학생)과 같은 ‘코포자’(코딩을 포기한 학생)를 양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여기서 나온다.

물론 코딩 교육이 예체능 과목과 마찬가지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교양을 심어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는 찬성의 목소리도 있다. 코딩 교육을 통해 분석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교육부의 입장도 이와 마찬가지다.

다만 교육부 발표대로 "학생 발달 단계에 맞춘 체험·탐구 중심"의 교육이 이뤄지기에 아직까지는 체계적인 학습 계획이 부실한 상황이다.
신제인
jane@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