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리뷰] 업무용 카톡, 아이폰에서는 안 된다?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지난 9월1일부터 국내에서 ‘e심(eSIM·embeded SIM)’이 상용화됐습니다. 기존 ‘유심(USIM)’이 SIM 카드를 단말기에 직접 삽입하는 방식이었다면 e심은 통신사에서 발송한 QR코드를 활용합니다. 번호 개통을 위해 오프라인상의 유통 채널을 방문하거나, SIM카드 배송을 기다릴 필요가 없는 셈이죠.
e심은 제조 단계에서 단말기에 반드시 탑재돼야 하는데요. 탑재되지 않은 단말기는 사용할 수 없죠.
국내에 e심이 상용화된 건 올해부터지만 애플은 이미 몇 년 전부터 e심을 활용했는데요. 애플은 지난 2018년 ‘아이폰XR 시리즈’부터 e심을 탑재했죠. 현재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e심 제품은 ▲아이폰XS 시리즈 ▲아이폰11 시리즈 ▲아이폰12 시리즈 ▲아이폰13 시리즈 ▲아이폰14 시리즈가 있습니다.
e심의 가장 큰 장점은 ‘투 넘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유심으로는 LG유플러스 요금제에 가입하고 e심은 SK텔레콤 요금제에 가입해 사용하는 식입니다. 주로 업무와 일상을 구분하고 싶은 이용자들에게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기존에도 투 넘버는 사용할 수 있었지만, 보조 회선으로 통화나 문자를 할 경우 상대 번호에 #나 *와 같은 특수문자를 입력해야 했는데요. e심에서는 이 과정이 사라집니다. 또 PASS 애플리케이션(앱)과 같은 본인 인증도 가능해지죠.
KB국민은행, 올해 '리딩뱅크' 탈환하나…기업금융·인니 KB뱅크서 '호전'
2025-04-22 14:13:31'지구의 날' 기념…쏘카, 전기차 대여료 60% 할인 쏜다
2025-04-22 14:05:42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조사 추진…"관리감독 철저히 할 것"
2025-04-22 11:39:36‘바니와 오빠들’ 드라마화에 웹툰 OST까지 뜨자… 뮤직카우 '함박 웃음'
2025-04-22 11:3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