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카카오 먹통 후 ‘안정성’ 대두…배민·당근마켓도 ‘셧다운’ 대비

이안나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지난 15일 SK C&C 판교 데이터센터(IDC) 화재로 발생한 ‘카카오 먹통’ 사태 재발방지를 위해 국내외 플랫폼·데이터센터 기업이 정부와 만났다. 화재사고 이후 플랫폼 안정성 확보 중요성이 떠오른 만큼, 법 제도 개선 등 핵심 요소들을 갖춰 재난재해와 같은 피해를 막는다는 목표다.

21일 과기정통부는 박윤규 제2차관 주재로 ‘국내 부가통신사업자 서비스 안정성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박 차관은 국내에서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부가통신사업자들과 장애상황 보호조치를 점검하고 안정적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구글 ▲넷플릭스 ▲메타 ▲우아한형제들 ▲당근마켓 ▲아마존웹서비스(AWS) ▲GS네오텍 등이 참석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장애발생 이후 방송통신재난대책본부 차원에서 점검하고 있어 참여하지 않았다.

박 차관은 “다행히 오늘자로 중단된 서비스가 정상화됐지만, 여기까지 근 일주일 정도 소요됐다는 사실을 뼈아프게 인식했으면 좋겠다”며 “앞으로 이같은 불행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업계·전문가들과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기술적·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전력 차단, 화재 등 유사시에 대비한 서버 이중화, 트래픽 분산 등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영‧관리 현황을 공유했다. 각 사업자들은 서버 분산화·다중화를 통해 장애사태에 대비하고 있으며 재난훈련도 병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카카오 장애 사고처럼 대규모 ‘셧다운’ 할 경우 방안에 대해선 클라우드 활용 등 대비를 하고 있지만 개선할 점도 찾기로 했다.

정창림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국장)은 이날 간담회 직후 백브리핑을 통해 “기간통신사업자에 대해선 방송통신 재난 관리 체계 대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데, 부가통신 사업자는 체계 편입이 안돼있다”며 “국민 생활과 밀접한 사업자에 대해선 이 체계 속에서 다양하게 대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부가통신사업자들은 법 제도 개선 관련해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자칫 과잉 규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법적 규제에 대해선 사업자별 규모와 사업 성격을 고려하겠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정 국장은 “국내 부가통신사업자 수만 1만6000개가 넘는다”며 “어떤 사업자는 콘텐츠전송네트워크사업(CDN)을. 어떤 사업자는 이용자들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모두가 네이버와 카카오 같지 않다”고 했다. 이어 “(제도 개선은) 모든 사업자에 대해 검토하는 게 아니라 일정 규모 이상, 국민 생활에 밀접한 중요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기간통신망은 물론 데이터센터와 디지털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사고도 재난으로 규정하고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이같은 내용을 검토해 연말까지 재발 방지 대책, 법 제도 개선 방안 마련할 것이라는 계획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사고 발생 시마다 조직을 만들어 대응하기보단 가칭 ‘디지털 위기관리 본부’를 상시 운영해 디지털 인프라와 서비스 재난예방-훈련-대응-복구 등 전주기적 점검·관리 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이안나
anna@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