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넷플릭스 광고요금제로 부각되는 비대칭 규제
[디지털데일리 강소현 기자] 넷플릭스가 오는 11월 광고형 요금제를 출시한다. 요금제는 콘텐츠에서 15초 혹은 30초 길이의 광고를 제공하는 대신, 구독료를 낮춘 것이 특징이다.
OTT를 중심으로 이런 광고형 요금제는 최근 제작비를 확보할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월 구독료가 핵심 수익원인 OTT 사업의 특성상 가입자 확보가 필수적인 가운데, 저렴한 가격으로 진입장벽을 낮춰 신규 가입자를 확보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넷플릭스 뿐 아니라 티빙·웨이브 등 국내 OTT 역시 광고형 요금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넷플릭스 광고는 벌써부터 국내외 광고주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아직 그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 넷플릭스의 광고 상품이 전세계적으로 완판된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처럼 OTT 업계가 자구책 마련에 한창인 가운데, 지상파 등 전통적인 방송 매체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TV광고의 인기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주요 수익원인 광고 매출의 감소가 예상되지만, OTT와 같이 모바일·PC 등 디지털광고 판매하는 것 역시 현행법상 불가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OTT의 광고 상품은 품목이나 방송시간에서 규제받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더욱 경쟁력 있다.
전통적인 방송 매체들에는 OTT와 비교해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는 가운데 이런 비대칭 구조를 해소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과거부터 계속 언급됐다. OTT 등 신유형 미디어와 비슷한 수준으로 규제를 완화해달라는 것이다.
최근 진행된 간담회에서 한 업계관계자는 “넷플릭스가 광고형 요금제를 출시하면 온라인광고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 같다. 국내 방송 규제는 의도치 않았음에도 글로벌 기업에게만 친화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국내 사업자들을 동등하진 않더라도 약간이라도 경쟁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 같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정부도 이런 사업자 의견에 공감해 사업자 간 하향 수평 규제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논의 중이지만 속도는 더디다. 현재 미디어정책 담당 부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로 산재되어 의견 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윤석열 정부가 미디어 정책 컨트롤타워 설치를 국정과제로 내걸었지만 이마저도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미디어 컨트롤타워격인 ‘미디어혁신위원회’(가칭) 설치 논의는 지난 6월1일 실시된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이유로 잠정 보류됐다. 전통 방송매체들이 OTT를 상대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규제체계 전반에 대한 논의가 하루빨리 이뤄지길 희망한다.
국민연금,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지지… 법원 판단만 남아
2025-01-19 15:31:10공정・투명한 '공매도'위한 가이드라인 최종안 마련… 금감원 "3월말까지 전산화 완성"
2025-01-19 14:20:28알뜰폰 업계, 갤럭시S25 가입자 사전유치 경쟁 ‘후끈’
2025-01-19 13:16:35주담대 채무불이행자 비율도 '상호금융'업권이 가장 높아…"종합 리스크관리강화 필요"
2025-01-19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