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아 칼럼

[취재수첩] 웹2에서 웹3로 가는 지름길, '대중의 공감'

박세아

[디지털데일리 박세아 기자] 프랑스혁명이 일어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은 권력 재분배에 대한 대중의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웹3 세상에 대한 염원도 마찬가지다. 블록체인 기술이 결국 플랫폼 사업자가 수익의 대부분을 독식하는 웹2의 구조를 탈피시키고, 반대로 다수 창작자와 데이터 소유자에게 부가 재분배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존재한다. 문제는 '일부' 사람들에게만 그 믿음이 통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우선 웹3에 대한 개념이 대중들 속에 파고드는 것조차 쉽지 않다. 블록체인 기술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프로젝트, 그리고 그 프로젝트 상에서 쓰이는 기축코인은 아직 많은 사람에게 생소하기만 하다. 탈중앙화된 형태의 비트코인이 철저히 중앙화된 전통 금융권의 부패한 구조에 대한 반감으로 탄생했다는 사실 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는 중앙화된 시스템 하의 교육이 내재화된 현대인들에게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블록체인에 대한 개념조차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해 불어닥쳤던 테라, FTX 파산과 같은 사태는 일반 대중들에게 이 기술에 대한 희망을 주기보다는 사기와 거짓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주기에 최적의 요소가 됐다. 시가총액 50조원이 넘는 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 테라와 글로벌 거래소 2~3위를 다투던 FTX의 몰락은 블록체인과 코인은 봉이 김선달이 그럴듯한 말로 대동강물을 파는 것이라고 여겨지게 했다.

또한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기축코인과 토큰이 상장돼 거래되고 있으며, 업계에서 대중과의 접점이 제일 큰 가상자산거래소들의 부족한 내부통제 역시 대중의 웹3에 대한 거부감을 키울 수 있는 요소가 되고 있다. 전통 금융권 수준의 자금세탁방지(AML) 시스템을 구축했다고는 하지만, 최근 금융당국 종합감사 발표 자료에 따르면 5대 거래소 중 한 곳의 임직원이 배우자 명의로 코인을 매매했다.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검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역량있는 전문가가 모인 거래소 시스템의 허점이 아직 많은 상황인 것이다. 이 가운데 가상자산시장을 규율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기본법의 국회 통과는 함흥차사다. 대중의 부정적인 인식 또는 무관심 속, 시장의 컨트롤 타워도 컨트롤 기준도 없다.

그럼에도 마냥 제도가 완비되기만을 넋놓고 기다릴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아직 소수만이 공유하고 있는 웹3에 대한 가치에 대해 다수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업계에서 먼저 신뢰를 주는 것이 핵심이다. 국가차원에서도 올해 블록체인 기술 기반 온라인투표와 주민등록증 등 공공사업 등에 올해 207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블록체인 기술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업 전주기에 국민참여단 참여도 추진한다. 국민이 일상 속에서 블록체인 기술 효용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대중의 효용성을 끌어올림과 동시에 업계 차원에서도 신뢰를 제고하는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 대중이 블록체인에 대한 신뢰를 가질 때, 진정한 웹3 세상이 열릴 동력이 생길 수 있다.

박세아
seeall@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