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보안 유니콘 기업 만들겠다”… 정부, 정보보호산업 경쟁력 확보 전략 발표

이종현 기자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 정책실장이 9월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하는 모습 ⓒ연합뉴스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 정책실장이 9월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하는 모습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이 사이버전이 확대되면서 주요국은 자국의 정보보호산업 수준이 곧 안보와 직결된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국제협력과 산업 육성 정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 또한 ‘사이버안보 역량 강화가 국가 안보의 핵심’이라고 강조해왔다. 정보보호산업 육성이 중요하고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선점할 새로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예산 1조1000억원을 투입해 시장 규모를 대폭 키우고 한국 사이버보안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는 등 국내 보안산업을 세계 무대에 통하는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포부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글로벌 정보보호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393.9조원 규모다. 2026년까지 연평균 8.5%의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이버위협 증가와 전 분야의 디지털화, 각국의 보안 규제 강화가 이를 뒷받침한다.

구체적으로 과기정통부는 2027년 국내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를 30조원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가 실시한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정보보호 시장은 16조1804억원가량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연평균 13.2% 이상 성장이 필요하다.

실현 불가능한 규모는 아니다. 국내 정보보호산업은 2021년 전년대비 13.4% 성장하며 전체 규모 13조8611억원을 달성했다. 그리고 2022년에는 16.7% 성장했다. 이와 같은 성장세를 이어갈 경우 2027년 시장 규모 30조원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정통부는 목표 실현을 위한 전략으로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로 대표되는 새로운 보안체계 적용과 스마트공장, 스마트헬스케어, 로봇, 항공‧우주 등 기존 산업의 보안 내재화를 추진한다는 목표다. 또 소프트웨어 자재명세서(SBOM) 기반 소프트웨어(SW) 공급망보안 기술지원 체계를 구축해 파급력 높은 분야를 대상으로 공급망 보안 관리를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정보보호산업은 사이버보안(정보보안)과 물리보안으로 구분된다. 현재 국내 물리보안 시장 규모는 사이버보안 시장의 2배가량인데, 과기정통부는 물리보안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부 연구개발(R&D)로 국산화된 핵심부품 폐쇄회로(CC)TV 반도체칩의 보급을 확산하고 2세대 칩을 양산해 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비전이다.

또 지문‧안면 중심 생체인식 성능평가 분야를 정맥, 홍채 등으로 확대하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60만건 이상 대략 구축, 생체인식 기반 물리보안 시장 확데에도 힘쏟는다. 이를 집약시킨 ‘한국형 무인점포’ 구현 계획도 소개했다.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 ⓒ과기정통부

정부 지원을 약속했지만 성장의 주축은 민간임을 분명히 했다. 정부는 민간 주도형 협업 추진연대인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공동‧협업형 통합보안 사업화 모델,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확보 등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그간 국내 사이버보안 산업계는 독자생존을 이어왔으나 정부가 협력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내겠다는 목표다.

중동과 동남아 등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신흥 보안시장 진출 관련 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중동 거점으로는 사우디, 동남아 거점으로는 베트남이 지목됐다. ‘시큐리티 팀 코리아’를 꾸려 공공부문의 주도로 대형 해외사업 수주 가능성을 극대화하겠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정부 전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은 산업계에서 요구해 온 사이버보안 펀드 조성이다. 2024년 정부 예산 200억원을 투입, 2027년까지 13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목표로 한다. 해당 펀드를 통해 제로 트러스트나 AI 등 유망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지원을 확대하고, 기업간 인수합병(M&A)를 통해 스케일업을 장려하는 등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현재 글로벌 보안시장을 “통합보안이라는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기업간 협업과 공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등 격변의 시기”라고 평가하며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하고 신흥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은 하루도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 이번 전략을 통해 우리 정보보호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해외 시장에서의 성공이 필수적이다. 전체 매출 중 20%가량은 해외에서 발생하는 물리보안 기업과 달리 사이버보안 기업은 2.7%에 불과하다. 철저하게 내수 시장에 의존하는 중인데,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자구적인 노력 역시 병행돼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종현 기자
bell@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