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넷플릭스 강동한 “OTT는 제로섬 경쟁 아냐…사랑받는 K-콘텐츠의 선순환”

권하영 기자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콘텐츠총괄이 16일 장충동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열린 '2023 국제 OTT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콘텐츠총괄이 16일 장충동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열린 '2023 국제 OTT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넷플릭스는 한국에서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협업의 방식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이는 넷플릭스 오리지널뿐만 아니라 한국의 다른 영화와 드라마, 예능이 해외 시청자들로부터 사랑받는 선순환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콘텐츠총괄은 16일 장충동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방송통신위원회가 개최한 ‘2023 국제 OTT 포럼’에서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이같이 강조했다.

강동한 총괄은 “10여년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대한민국 영토를 콘텐츠로 넓힌다’는 슬로건을 건 적이 있다. 당시엔 너무 진취적이라 봤는데 이제 보니 근미래를 정확히 예견한 슬로건이다. 정말로 대한민국 영토는 콘텐츠로 확장이 됐다”고 운을 뗐다.

그는 “지난해 한국 콘텐츠를 시청한 전세계 넷플릭스 가입자의 비율은 60%에 이른다”며 “한국 콘텐츠는 아시아를 넘어 미국·유럽·중남미 등 전세계 대중들이 기꺼이 돈을 지불하고 기다리며 찾아서 보는 글로벌 대중 문화의 큰 한축이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총괄은 한국 콘텐츠의 더 큰 도약을 위한 2가지 요소인 ‘스트리밍’과 ‘콘텐츠’ 측면에서 넷플릭스가 해오고 있는 노력들을 소개했다.

강 총괄은 “창작자와 유통 측면에서 글로벌 스트리밍은 거의 혁명에 가깝다고 생각이 된다. 특히 뛰어난 콘텐츠 경쟁력을 가진 한국에는 아주 좋은 기회다”라고 말했다.

그는 “넷플릭스는 최대 33개 언어의 자막과 22개 언어의 더빙을 제공하는데 이는 콘텐츠에 대한 애정과 전문성뿐만 아니라 작품 1편당 수십억원에 달하는 투자가 수반된다”며 “우리는 홍보와 마케팅도 각 나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콘텐츠가 전세계에서 폭발적인 사랑을 받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미국과 한국에서 사람들은 각각 평균 2.8개, 2.7개의 OTT를 구독하고 있다”며 “이는 스트리밍 서비스끼리 제로섬 플레이가 아니라 넷플릭스, 티빙, 쿠팡, 웨이브 모두 다 같이 성장할 수 있는 큰 시장이라는 걸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강 총괄은 “한국에선 서로 공존하는 다양한 협업 방식을 찾아내고 있다”며 “작품과 파트너 상황에 맞게 제작하거나 라이센싱에 투자하는 경우도 있는데, 넷플릭스 오리지널뿐만 아니라 다른 한국의 영화·드라마·예능이 해외 시청자들에게 선보여지고 사랑받는 선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협업의 키워드는 ‘콘텐츠’에 있다고 지적했다. 강 총괄은 “아무리 크고 좋은 플랫폼이 있고 소비자가 복수로 구독하는 형태라도, 좋은 콘텐츠 없이 소비자에게 선택받기는 어렵다”며 “그래서 공통적 과제는 결국 훌륭한 콘텐츠가 나올 수 있도록 창작자를 지원하는 것이고 이들을 위해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젊은 사람들이 커서 영화 감독이나 드라마 PD가 되고 싶다는 꿈을 꾸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이들에게 동기를 부여해줘야 한다”며 “힘 있는 스토리가 다양하게 계속 만들어지려면 새로운 사람에게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넷플릭스는 이러한 차원에서 신진 창작자들을 위한 투자를 계속해 오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강 총괄은 “넷플릭스는 2016년 한국 진출 이후 상업성이 없다며 시장에서 외면받거나 신인이라고 쉽게 기회 부여받지 못했던 창작자들에게 투자를 계속해 왔다”며 “실제 2022년~2025년 공개할 작품 5개 중 1개는 신인 창작자들의 작품들”이라고 밝혔다.

강 총괄은 “콘텐츠는 철과 콘크리트로 제조하는 게 아니라 사람들의 상상력으로 창조해내는 예술의 영역이기 때문에, 한국 콘텐츠에 투자한다는 건 고스란히 한국 사람에게 투자한다는 거고 이들이 큰 결실과 혜택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더 좋은 작품을 위해, 소비자 만족과 한국 콘텐츠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권하영 기자
kwonhy@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