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유명인 사칭 광고, 구글도 칼 뺐다…전담팀 배치·정책 강화

이나연 기자
2023 광고 안전 보고서 갈무리 [ⓒ 구글]
2023 광고 안전 보고서 갈무리 [ⓒ 구글]

[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최근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신종 사기 광고가 성행하는 가운데, 구글이 관련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전담 집행 팀을 배치하고 광고 정책 업데이트에 나섰다.

잘 알려지지 않은 광고주나 신뢰할 만한 과거 내역이 없는 광고주에 대해 ‘광고주 파악 기간(get-to-know-you period)’을 적용해 광고주의 도달 범위를 제한하는 정책을 도입한 것이 골자다. 구글은 악의적인 행위자를 신속히 탐지하고 차단하기 위해 광범위한 리소스를 투입하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방침이다.

27일(현지시간) 구글은 플랫폼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지난 한 해 노력과 성과를 담은 ‘2023 광고 안전 보고서(Ads Safety Report)’를 발표했다.

앞서 구글은 딥페이크 기술로 유명인을 사칭해 이용자를 속이는 타깃 광고가 작년 말 급증한 데 따라 전담팀을 구성, 악성 행위자의 행동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고 자동화된 집행 모델을 마련했다.

머신러닝을 통해서도 유사 광고를 탐지, 대규모로 관련 광고를 삭제했다. ‘허위 진술 정책’ 업데이트로 악의적인 행위자의 광고 계정을 신속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했다.

구글은 전 세계 주요 선거를 앞두고 광고 안전을 위해 선거 광고주에 대한 신원 확인 및 투명성 요건을 강화하고 광고주의 선거 광고 타겟팅 방식에 대한 제한 사항도 마련했다.

모든 선거 광고엔 ‘자금 출처’ 공개를 의무화했으며 합성 콘텐츠가 포함된 선거 광고에 대한 공개 요건을 세분화했다. 이러한 구체적인 조치를 마련한 사례는 테크기업 중 최초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구글이 실시한 디지털 광고 생태계 보호 조치로 55억건 이상의 정책 위반 광고가 삭제되거나 차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 2억건에 달하는 사칭 사기성 내용의 광고를 포함한 수치다.

구글은 제한된 이용자에게만 69억개 광고가 노출되도록 조치했으며, 악의적으로 정책을 위반하는 1270만개 광고주 계정을 차단했다. 이는 지난 2022년보다 2배 증가한 규모다.

21억개가 넘는 퍼블리셔 페이지도 광고 게재를 차단하거나 제한했고, 39만5000개가 넘는 퍼블리셔 사이트에 대해 광범위한 수준의 조치도 이뤄졌다. 각각 15억개 페이지, 14만3000개 사이트를 제재했던 전년 대비 모두 늘었다.

5000개 이상 신규 선거 광고주를 검증해 검증을 완료하지 않은 광고주의 선거 광고 730만건 이상을 삭제하는 동시에 광고주와 퍼블리셔에 관한 31가지 정책 역시 추가했다.

구글 측은 “특히 지난해 조치했던 광고 노출 페이지 약 21억개 중 머신러닝과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통해 탐지 및 유형화한 비중은 3분의2에 달한다”라며 “같은 해 출시된 구글의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활용해 더욱 정교하고 신속한 집행이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됐다”라고 강조했다.

이나연 기자
lny@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