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주완 SaaS추진협의회장 “CSAP등급제, 국내 SaaS 활성화 기여”
- 메가존, SaaS 토양 다지는 역할…사추협 회원사 140곳 넘어
- “SaaS 수요 만드는 게 우선, CSAP 등급제로 충분한 인프라 마련”
[디지털데일리 이안나기자] 빠르게 발전하는 글로벌 기술환경 속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는 다양한 산업 전반에 혁신을 주도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 다만 글로벌 흐름과 달리 국내에선 SaaS 시장 확장은 더딘 편이다. 오래된 온프레미스 선호 현상과 각종 규제, 경제적 요인이 결합한 결과다.
일반인들에게 SaaS라는 용어는 생소할 수 있지만 일상에서 이미 사용 중인 경우가 많다. 가령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개통할 때 구글 계정을 만들고 지메일(Gmail을 생성한다. 특별한 설치 없이 PC나 모바일 어디서든 접속해 동일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지메일이 SaaS의 대표적 예다.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산하 단체인 SaaS추진협의회는 국내 SaaS 시장을 활성화하고 소프트웨어(SW)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21년 발족했다. 1대 회장사였던 베스핀글로벌에 이어 올해 메가존클라우드가 2대 회장사로 추대됐다.
이주완 SaaS추진협의회장(메가존클라우드 대표)는 최근 서울 강남구 사무실에서 <디지털데일리>를 만나 “국내 여러 SW기업들이 있지만 SaaS로의 전환은 생각만큼 빠르지 못하다”며 “개별 기업도 노력해야 하지만 정부와 SW 기관·단체가 합심해 변화하는 시장에 체계적 대응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베스핀글로벌에 이어 메가존클라우드가 관리서비스제공사(MSP)로서 SaaS추진협의회 회장사가 된 배경엔 현실적 요인들이 작용했다. 대다수 SaaS 기업들은 아직 중소기업들로, 현안에 몰두하느라 업계를 대변할 여유가 없었던 것. SaaS기업들이 성장하는 기간 메가존은 ‘씨앗을 심고 거름을 주는 역할’을 맡았다는 게 이 회장 설명이다.
SaaS추진협의회 회원사는 발족 1년 만에 회원사 100곳을 유치한 후, 현재 약 140곳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올해부터 달라진 부분은 회장사 메가존클라우드와 함께 더존비즈온·채널코퍼레이션이 부회장사로 함께 한다는 점이다. B2B영역에서 활약해 온 국내 우수 SW기업들인 만큼 각 강점을 적용한 분과를 나눠 SaaS 기업들을 지원한다.
이 회장은 “메가존클라우드는 전문성을 살려 ‘SaaS 개발·전환’ 분야를 돕고, 채널코퍼레이션은 전체 매출 중 25%가 글로벌에서 나오는 역량을 활용해 국내 SaaS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며 “SaaS는 정부 시책과 잘 맞아야 하기에 더존비즈온이 제도 개선 관련 활성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SaaS추진협의회 역할이 세분화·고도화된 건 SaaS가 국내에서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를 면밀히 들여다본 결과다. 협의회가 인식한 문제점은 글로벌 시장에 비해 국내에서 SaaS 수요가 지극히 낮다는 데 있다. 수요가 있어야 공급자들이 SaaS에 투자하고 전환을 가속화하는데, 국내선 기업들에 강한 동기부여를 줄 만큼 수요가 있지 않다는 분석이다.
‘수요 증가→기업 투자’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SaaS추진협의회는 정부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등급제 도입을 적극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CSAP 등급제는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이용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제도다. 일각에선 외산 클라우드 진입으로 국내 클라우드서비스제공자(CSP)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국내 SaaS 시장 활성화, 나아가 국내 SW기업들 해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라도 CSAP 등급제가 도입돼 공공부문에서도 SaaS 활용도가 높아져야 한다는 게 이 회장 생각이다. 국내 SW기업들은 그간 공공분야에서 패키지 SW들을 공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에서도 정부·공공기관 공급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해외에선 CSAP 같은 규제가 없기 때문에 바로 수출이 가능하다. 대신 해당 기업 레퍼런스가 중요한데, 정작 국내 공공부문에서 SaaS 공급 경험이 없다면 해외에서도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규제와 법으로 국내 기업들을 지킬 수도 있지만 반대로 SaaS기업들이 충분한 인프라를 활용하지 못해 고사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이 회장이 CSAP 등급제 도입을 두고 그동안 차단됐던 공공시장에 SaaS 형태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보고 있는 이유다. 특히 CSAP ‘하’등급은 개인정보나 데이터 보안 이슈가 없으니 실질적인 리스크는 없다고 보고 있다.
이 회장은 “소프트웨어는 온프레미스하고만 경쟁하는 게 아닌 SaaS로 전환이 돼야 하는데, 외국계 기업을 못 들어오게 하면 국내 수요는 계속해서 없을 것이고 전환도 더딜 것”이라며 “SaaS추진협의회 회원사들 입장에선 CSAP 등급제 관련해 이해가 상충되지 않고 오히려 해외진출 용이성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인터뷰] 돈 되는 렌탈 데이터?...신상용 프리핀스 대표 “렌탈 창업부터 금융 솔루션까지 함께할 플랫폼”
2024-11-23 12:05:50행안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제도개선 착수…“공공SW 전반 변화해야”
2024-11-23 09:39:29주파수 재할당대가, 정부가 부르는게 값? “산정방식 검토 필요”
2024-11-22 18: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