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신천지 열린다②] SKT, ‘T스토어’로 모바일 생태계 다시 쓴다
- 일반폰까지 사용 확장…접속방법 다양화 ‘숙제’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모바일 인터넷이 부각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활성화를 위해 콘텐츠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동통신사, 단말기 제조사, 콘텐츠 업계 등 각각이 한국형 콘텐츠 사업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가장 먼저 나선 곳은 SK텔레콤이다.
SK텔레콤은 지난 9월부터 애플리케이션 오픈 마켓 ‘T스토어(www.tstore.co.kr)’를 운영하고 있다. 누구나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고 구매할 수 있다. 위피 기반 휴대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와 윈도모바일 운영체제(OS)용 콘텐츠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폰과 윈도모바일 스마트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도 T스토어에 ‘숍인숍(Shop in Shop)’ 형태로 해외에서 운영 중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일반폰 사용자도 쓸 수 있는 한국형 모델=현재 가입자 수는 21만여명에 달한다. 등록 콘텐츠 수는 2만8000개며 윈도모바일 콘텐츠는 1000여개다. 다운로드 수는 78만건을 넘어섰다. 5200여명의 판매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T스토어 오픈 이후 줄곧 유료 콘텐츠 다운로드 1위를 차지해 온 ‘베이비폰’ 개발자 유재현(33)씨는 11월말까지 약 6000만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대학생 개발자로 유명세를 탄 ‘지하철 알리미’ 개발자 이민석(26)씨는 두 달 만에 4000만원 가량의 매출을 달성했다.
현재 SK텔레콤은 T스토어 콘텐츠 다운로드시 발생하는 데이터통화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오는 2010년 1월31일까지 정보이용료만으로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셈이다. 데이터통화료 외에도, 무선인터넷 T스토어(**4+네이트)에서 콘텐츠 검색, 페이지 이동 시 발생하는 데이터통화료도 모두 무료로 지원한다.
SK텔레콤 단독 청문회 추가로 연다…“다음달 8일 최태원 증인석 세울것”
2025-04-30 22:08:52공학한림원, 내달 14일 정책토론회…에너지·AI·인재 전략 제안
2025-04-30 18:31:29겉핥기 된 SKT 청문회…‘위약금 면제’에 집중 (종합)
2025-04-30 18:31:10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美 트럼프 장남 만났다…"AI·테크 협력 모색"
2025-04-30 18:0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