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어플라이언스 vs오픈아키텍처, 차세대 주인공은?
최근 한국거래소가 x86 서버 및 리눅스를 기반으로 차세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내년 2월에 끝나는 이 프로젝트는 국내 IT 업계에 적지 않은 의미를 던지고 있다.
그 동안 한국 기업들은 대부분 핵심 주전산 시스템으로 유닉스를 선택해왔다. 그동안 전세계적으로 한국은 메인프레임에서 유닉스로의 다운사이징이 상대적으로 앞서왔는데, 반면 x86 도입은 소극적이었다. x86 서버의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어떤 시스템보다 안정성이 최우선시 되는 한국거래소의 기간 시스템이 x86 및 리눅스로전환됨에 따라 안정성은 더 이상 논란의 대상이 되지 않을 듯 보인다.
<디지털데일리>는 '핵심업무와 x86의 조우, 의미와 과제'라는 주제로, 3회에 걸쳐 엔터프라이즈 IT환경에 부는 새로운 바람을 조망해본다 [편집자주]
기사게재 순서
2. 어플라이언스 vs오픈아키텍처, 차세대 주인공은?
3. x86 도입을 위한 필수조건…가용성 확보하려면
[디지털데일리 심재석기자] x86 시스템이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의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는 가운데,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확산이라는 새로운 변화도 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어플라이언스를 도입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아니면 각 벤더 최적의 솔루션을 조합하는 베스트오브브리드(Best of breed) 전략이 적합한지 자사의 상황과 업무에 맞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다고 지적한다.
어플라이언스는 성능과 관리 용이성 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비용상승 및 벤더종속이라는 함정에도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플라이언스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최적화해 구성해 놓은 솔루션이다. 하드웨어부터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를 수직적으로 결합해 비용을 절감하고, 성능을 최상으로 올리자는 시도다.
일반적으로 어플라이언스는 온라인분석처리(OLAP) 분야에 주로 적용돼왔다. 테라데이타, 네티자 등이 이런 솔루션을 공급했다. 그런데 최근에는 어플라언스의 영역이 온라이트랜잭션처리(OLTP)까지 확장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OLPT 시스템에 어플라이언스를 도입하는 1~2년 사이에 꽤 늘어났다.
대표적인 제품은 오라클 엑사데이터다. 이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DB 등이 통합된 것으로, 최근 금융권을 비롯해 통신사, 유통사 등 다양한 업종으로 퍼저나가고 있다.
기업들이 엑사데이터를 도입하는 첫 번째 이유는 성능과 관리의 편의성이다. 엑사데이터는 고성능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밀착시켜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 시스템이 미리 구성돼 있기 때문에 프로적트 기간을 줄일 수 있고, 관리도 상대적으로 단순해진다.
그러나 어플라이언스를 도입하는 것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큰 우려점은 특정 업체에 의존함에 따라 벤더 종속 현상에 벌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오라클의 경우 DB시장에서 다소 고자세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오라클 엑사데이터를 도입하면 종속현상은 더 심해질 수 있다.
가격도 고가다. 고사양의 하드웨어로 구성됐기 때문이다. 기업의 규모와 업무에 따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다채롭게 구성할 수 있는 오픈 아키텍처에 비해 비싸다는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다.
어플라이언스의 대척점에는 다양한 업체의 제품들을 조합해 IT인프라를 구성하는 ‘오픈 아키텍처 환경’이 있다. 오픈 아키텍처는 IT인프라 구성에 필요한 솔루션을 필요에 맞게 조합하는 방식이다.
에를 들어 최근 차세대 시장거래 시스템 구축에 돌입한 한국거래소(KRX)는 HP x86 서버,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EHL) 운영체제, 시만텍 고가용성 솔루션, 효성인포메이션(HDS) 스토리지, 시스코 백본스위치, 아리스타네트웍스(로레이턴시 스위치 장비), 멜라녹스테크놀로지(인피니밴드) 등을 조합키로 했다.
이는 오라클이라는 하나의 벤더에 모든 것을 맡기는 것보다 복잡하고 관리도 힘들지만, 특정 벤더에 종속돼 휘둘리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다.
확장성도 오픈 환경의 장점이다. 엑사데이터의 경우 오라클은 쿼터, 하프, 풀 랙으로 공급한다. 오픈 환경처럼 세밀하게 서버를 늘리거나 줄일 수는 없다
또하나 흥미로운 점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플라이언스와 오픈아키텍처의 장단점이 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어플라이언스를 도입한 이후 시스템에 오류가 있거나 문제가 발생할 때, 초기 대처는 쉽다. 어플라이언스 업체에 연락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하고 편리하다. 하지만 그 업체가 책임을 회피하거나, 근원적인 문제를 감출 경우 고객 기업은 속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여러 벤더들이 함께 인프라를 구성하게 되면 문제 발생 시 대처가 쉽지 않다. 여러 벤더의 제품 중 무엇이 문제를 일으켰는지 찾는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각 업체들은 자신의 책임이 아님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그 과정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발견될 수 있다. 복잡한 접근이 비효율적일 수도 있지만, 근원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국내 IT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어플라이언스가 OLTP 환경에 도입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는 장단점이 분명하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런 장단점을 면밀하게 분석한 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재석 기자>sjs@ddaily.co.kr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비트코인이 불지른 가상화폐 ‘불장’… 금융당국, '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2024-11-15 16:20:20[KB금융 '양종희 號' 1년 -上] 실적 무난했지만 내부통제 문제 심각… 빛바랜 성적표
2024-11-15 15:5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