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가 바꾼 e커머스 풍속도, 마트상품 실적 급성장
마트상품 주요 카테고리의 성장세를 보면 가공/즉석식품 350%, 신선식품 260%, 식품/건강 280%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전년 동기간 대비 월등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30대 고객은 신선식품(280%)과 가공/즉석식품(410%) 구매액이 크게 성장했다. 인파가 많은 외식보다는 집에서 간단하게 가족끼리 조리해 먹는 식생활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못지않게 생필품이라 불리는 화장지(440%), 세제(600%), 비누(460%) 등의 전년 동기간 대비 매출 증가율을 보였다. 이 역시 마트에 가지 않고 구매하려는 최근의 고객패턴 변화가 반영됐다.
메르스 관련 용품 거래액을 집계해 본 결과 연령대별 구매 품목에서 차이를 보였다. 먼저 면역력에 대한 걱정이 덜한 20대와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50대는 손 세정제를 가장 많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증가율은 전년 동기간 대비 7822%, 8500%라는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직장생활과 어린 자녀를 둔 3040 세대는 마스크를 가장 많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동기간 대비 구매증가율은 13803%와 9426%라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구강용품 240%, 홍삼 870%, 토마토 330%의 전년대비 매출 증가율을 보여 메르스 예방 상품 특수를 보였다.
손 세정제, 구강용품, 비누 등 세정 용품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것은 어린 자녀를 둔 3040 가정에서는 이번 메르스 사태를 통해 평소 손 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하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IT클로즈업] 생성형AI 시대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재부상하는 이유
2025-04-16 08:09:54[일문일답] CJ ENM "엠넷 30주년, 더 넓은 세계로 간다”…글로벌 전략은?
2025-04-15 19:20:07CJ ENM-애플TV+ 손잡는다…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제작
2025-04-15 18:46:26참여연대 "불법 영업한 전광훈 알뜰폰, 사업자등록 취소해야"
2025-04-15 18:10:01CJ ENM·엠넷, 올해 30주년…‘글로벌 삼각 전략’ 본격 가동
2025-04-15 18:0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