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김동연, '융합형 인재' 양성 강조... 과기부총리제 도입엔 '글쎄'

강소현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과학에 대한 존중은 그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국가 지도자가 되면 이념이 아닌 과학을 따르는 지도자가 되겠다. 과학기술에 중점을 둔 국정운영을 하겠다”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후보는 2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과학기술혁신 공약 토론회 및 청년과학기술인과의 토크쇼'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 앞서 김 후보는 기조연설을 통해 과거 사단법인에서 활동하며 양돈 농가와 토마토 농사에 과학기술을 적용했던 경험을 언급, “과학기술의 발달이 가장 더딘 부분이 농업이라고 생각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그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에 대해 ‘일류를 위한 기술, 인류를 위한 과학’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또 실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성 보장과 실패를 용인하는 연구환경 ▲미래 융합사회를 이끌 기초가 튼튼한 인재교육 ▲기수기반 창업 활성화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정부 ▲인류 당면과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등 5가지를 내세웠다.

특히 김 후보는 과학기술 혁신에서 융합형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대학이 과학기술의 발달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 학기 배운 과학기술이 다음학기에 필요 없어지는 그런 세상이 오고 있다”며 “정해진 길을 가도록 하는 교육이 현재 과학기술 혁신을 막는 큰 문제다. 취업에 맞춰져 있는 인재 양성의 틀을 깨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행정고시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운 이유도 비슷한 맥락에서였다. 똑같은 시험 문제를 보고 똑같은 과목 풀어서 비슷한 전공의 사람들이 문화를 형성하면 다른 생각을 할 수 없다“며 융합형 인재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후보는 ”미국의 ‘문샷 프로젝트’처럼 정부가 프로젝트를 직접 꾸려, 기업에서나 시장에서 하기 어려운 인력양성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1961년 추진한 문샷 프로젝트는, 10년 내 인류를 달에 보내기 위해 진행됐다.

한편 김 후보는 일부 대선 후보들이 공약한 거버넌스 구성 및 조직개편을 통한 과학기술의 투자나 정책결정에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조직개편 만으로 과학기술 혁신을 이룰 수 있었다면 이미 과거에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그는 의사결정을 하는 자리가 아닌,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오랜 공직 경험을 토대로 봤을 때 조직과 자리의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의 소프트웨어가 중요하다”며 “경제와 역사, 과학기술 분야 모두를 잘 알고 있는 ‘융합형 인재’가 과학정책의 의사결정을 하는데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소현
ks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