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족집게] ㊦ 국내 e스포츠 진흥, 누구의 공약이 더 실효성 있나?
[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공통적으로 내놓은 게임 공약 키워드 중 하나는 이스포츠(e스포츠)다. 두 후보의 관련 공약은 세밀하게 보면 핵심 내용은 다르지만, ‘국내 e스포츠 진흥’이라는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먼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해 12월 발간한 ‘2021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0년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는 1204억1000만원 규모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뉴주(Newzoo)에 따르면, 세계 e스포츠 산업 규모는 2020년 9억4710만달러(한화 약 1조1223억원)로 집계됐다. 2024년에는 16억1770만달러(한화 약 1조9905억원)로 연평균 1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2015년도 이후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는 2016∼2017년도에 4.2%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매년 17% 이상 성장했으나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13.9% 감소했다.
게임단 예산은 528억6000만원으로 14.1% 증가했으며, 스트리밍 분야는 314억7000만원으로 12.3% 증가했다. 그러나 상금 규모는 132억3000만원으로 31.1% 감소, 방송 분야는 50.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LCK 프랜차이즈가 이뤄지고, PUBG는 세계 규모의 대회를 운영하는 등 e스포츠 산업의 중심이 e스포츠 게임 종목을 운영 중인 게임사(이하 종목사)로 옮겨가고 있다. 전반적인 콘텐츠 제작 및 운영 과정에 있어서 종목사 관여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e스포츠 종목에 대한 종목사 투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AI로 가짜 쇼핑몰 뚝딱 만든다…"사기 수법 진화 중"
2025-04-16 20:00:00최민희 의원, 부총리급 '과기정통인공지능부' 격상 개정안 발의
2025-04-16 18:17:07뉴진스, 데뷔 1000일 자축했지만…법원 판단은 그대로
2025-04-16 18:11:42스타링크 韓 진출 임박…정부, 전파 혼간섭 방지 '총력'
2025-04-16 17:54:18[DD퇴근길] KT, 미디어사업 전략 수정…"공격적으로 AI 접목"
2025-04-16 16:5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