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발자국] PC는 언제 처음 국내에 들어왔을까?
그동안 다양한 전자제품이 우리 곁에서 회자정리 거자필반(會者定離 去者必返)을 반복했습니다. 모두에게 사랑받던 기기가 어느 순간 사라지거나 오랜 세월이 지난 뒤 부활하기도 했습니다. <디지털데일리>는 그 이유를 격주 금요일마다 전달하려고 합니다.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컴퓨터가 계산기에서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컴퓨터의 시초는 고대 중국의 주판입니다. 복잡한 계산을 빠르게 하는 용도죠. 기계식·수동식 계산기를 거쳐 컴퓨터는 진공관→트랜지스터→집적회로→초고밀도 집적회로로 고도화됐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현대식 컴퓨터의 기원은 1946년 ‘에니악’인데요. 에니악에는 1만8000여개의 진공관이 사용됐습니다. 높이는 5.5미터(m)에 무게는 무려 30톤이었죠. 전쟁 시 군대에서 포탄 탄도를 계산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전쟁 이후에는 우주선 연구나 일기예보 등에도 사용됐습니다.
그렇다면 국내에는 언제 처음 컴퓨터가 도입됐을까요? 에니악이 만들어진 지 21년이 지난 1967년입니다. 그해 4월 기획재정부의 전신인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에 IBM의 트랜지스터 컴퓨터 ‘IBM 1401’이 도입됐죠. IBM 1401이 도입되던 날에는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까지 참석할 정도로 큰 행사가 개최됐다고 알려집니다.
IBM 1401은 4월에 들여왔지만 가동한 건 그해 6월부터입니다. 설치하는 데만 3개월이 걸렸기 때문이죠.
IBM 1401은 초당 6만 글자를 읽어낼 수 있었는데요. 그렇지만 기억용량은 16킬로바이트(KB)였습니다. 지금 제품과 비교하면 형편없는 수준이지만 당시에는 획기적인 수준이었습니다. 조사통계국은 인구조사를 진행하고 통계를 내는 목적으로 활용했다고 합니다. 자세하게는 천공카드시스템(PCS)의 계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였는데요. IBM 1401이 도입되기 전에는 통계 자료를 수동으로 집계하는 수준이었죠.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업무 전산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었습니다. IBM 1401을 들어온 뒤 한 달 뒤에 한국생산성본부에 ‘파콤 222’가 들어옵니다. 파콤 222를 통해 본격적인 전자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는데요.
파콤 222는 IBM 1401과 같은 트랜지스터 컴퓨터였디만 성능은 더 좋았습니다. 초당 100만자를 읽어낼 수 있었고 기억용량은 18KB였죠. 무게만 35톤에 달했는데요. 운송 시 200명의 인력이 5대의 트럭에 나눠 운반했다고 알려집니다.
국민연금,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지지… 법원 판단만 남아
2025-01-19 15:31:10공정・투명한 '공매도'위한 가이드라인 최종안 마련… 금감원 "3월말까지 전산화 완성"
2025-01-19 14:20:28알뜰폰 업계, 갤럭시S25 가입자 사전유치 경쟁 ‘후끈’
2025-01-19 13:16:35주담대 채무불이행자 비율도 '상호금융'업권이 가장 높아…"종합 리스크관리강화 필요"
2025-01-19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