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이재용, '승어부' 가능할까…진정한 시험대 이제부터

김도현

- 사면 이후 현장경영 본격화
-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주요 사업 전략 주목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뉴삼성’ 재편 의지를 드러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행보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복권 이후 회장 승격 및 총수로서의 리더십 발휘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삼성전자 창립기념일(11월1일) 전후로 대대적인 메시지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삼성그룹은 고(故) 이건희 회장 2주기 공식 추모 행사를 열지 않을 예정이다. 사내 게시판에 온라인 추모관을 개설 및 운영하며 이 부회장과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 등 유족과 일부 사장단만 경기 수원 선영에서 추모식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1주기 당시 이 부회장은 취업 제한 등 이유로 대외 활동을 자제했다. 올해는 8.15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족쇄가 풀린 만큼 지난해와 다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상황에서는 회장직보다는 그룹 구상안이 주목을 받는다. 오는 27일 열리는 삼성전자 이사회 안건이 최종 조율되지 않아 다음달 1일 승진은 사실상 어려워진 영향이다. 앞서 이 부회장 역시 관련 내용에 대해 “회사가 잘 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하면서 자리보다는 경영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과거 이 부회장은 “이 회장이 삼성그룹의 마지막 회장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삼성그룹 회장 타이틀은 없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삼성 안팎에서는 이 부회장이 진정한 시험대에 올랐다고 분석한다. 홀로서기를 본격화한데다 미·중 분쟁 심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세계적인 경기침체 등 대내외적인 변수로 주요 사업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우선 과제로는 컨트롤타워 복원이 꼽힌다. 삼성그룹은 지난 2017년 2월 미래전략실을 폐지하고 사업 부문별로 분산된 태스크포스(TF)를 운영 중이다. 약 5년이 지난 현재 계열사 간 의사소통과 시너지가 부족해졌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이들을 통솔할 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내에서도 사업부가 갈리고 여러 계열사까지 각자도생을 하다 보니 그룹 차원의 방향성 설정이 어려웠을 것”이라며 “SK수펙스추구협의회, ㈜LG 등처럼 내부 기업들을 아우를 수 있는 대상의 존재 이유”라고 말했다.

다만 미전실이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되면서 해체된 전례가 있어 부정적인 목소리도 남아있다. 이에 새 컨트롤타워를 견제할 조직을 마련하는 등 적절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적으로도 중차대한 시점이다. 삼성전자 핵심 품목인 반도체와 스마트폰, 가전 등이 글로벌 인플레이션 여파로 하락 국면에 진입했고 삼성전기 삼성SDI 등 소재 및 부품 계열사도 부진이 불가피한 탓이다.

이 부회장은 현장 경영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 8월 삼성전자 기흥캠퍼스 반도체 연구개발(R&D) 단지 기공식을 기점으로 삼성엔지니어링 글로벌엔지니어링센터(GEC), 삼성전자 수원사업장, 삼성SDS 잠실캠퍼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 공장 등을 연이어 찾은 바 있다. 지난 6월 유럽에 이어 9월 멕시코 파나마 영국 등을 방문하면서 해외 사업 현황을 점검하기도 했다.

이제 시선은 이 부회장 입으로 향한다. 내년은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이 도쿄 선언(반도체 사업 진출) 40년, 이건희 회장이 프랑크푸르트 선언(신경영 체제) 30년째 되는 해다. 업계에서는 이 부회장의 중대 발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미 거론된 인수합병(M&A)을 통해 3대 먹거리 반도체·2차전지·바이오에 방점을 찍을 수 있다는 추측도 제기된다.

한편 이 부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니다. 제일모직-삼성물산 부당합병 및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이다. 재판 결과 따라 재차 경영활동에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