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엘앤에프, 새만금 전구체 공장 짓는다…中 의존도↓
- 1조원 투자…연내 12만톤 생산공장 착공
- 엘에스-엘앤에프배터리솔루션 JV 설립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LS그룹 지주사 ㈜LS와 양극재 전문업체 엘앤에프가 손잡는다. 양사는 배터리 핵심 원료 전구체 사업에 나선다.
16일 ㈜LS와 엘앤에프는 양극재 중간재인 전구체(선행 물질) 사업을 위한 합작사(JV) ‘엘에스-엘앤에프배터리솔루션(가칭)’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참고로 전구체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섞어 만든 화합물이다. 전구체에 리튬 등을 더하면 양극재가 된다. 양극재는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등과 배터리 4대 소재로 꼽힌다.
두 회사는 전북 새만금산업단지 내 전구체 공장을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투자 금액은 1조원 규모로 공장은 이르면 2025년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2029년에는 12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출 전망이다.
이번 JV는 ㈜LS와 엘앤에프가 각각 55%, 45% 지분을 갖고 공동 경영 체계로 운영된다. 양사는 JV를 통해 전구체 제조 및 판매는 물론 황산니켈과 리사이클링 분야까지 양극재 관련 포괄적인 사업 협력을 진행할 방침이다.
LS그룹에서는 동(銅) 정·제련 기술력을 가진 계열사 LS MnM이 제련 과정의 부산물, 광산원물 및 공정 스크랩 리사이클링 등을 통해 생산한 황산니켈을 JV에 공급한다. 엘앤에프는 JV가 생산한 전구체를 조달해 양극재를 제작해 ‘황산니켈 → 전구체 → 양극재’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이 구축될 예정이다. 니켈, 전구체 등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만큼 공급망 내재화 차원에서도 의미가 있다.
LS그룹 관계자는 “순수 국내 기업 간 동맹(K-Alliance)을 통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원자재법(CRMA)에 대응할 것”이라며 “K배터리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구자은 LS그룹 회장은 지난 1월 발표한 그룹 ‘비전 2030’에서 “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CFE)과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LS가 발전하기 위한 큰 축으로 배전반(배터리·전기차·반도체) 사업을 키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LS그룹은 이번 JV 설립을 배터리 분야 진출의 신호탄으로 삼을 심산이다.
[대선 2025] “AI시대, 정책 낭비 그만” 외친 안철수·이준석…‘AI로 합심’
2025-04-25 17:59:53신한은행, '리딩뱅크' 지켰지만… KB국민·하나은행과 더 피말리는 경쟁 구도
2025-04-25 17:37:39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DD퇴근길] 트럼프 주니어, 韓 찾는다…정용진 초청에 재계 총수 면담
2025-04-25 17:03:56기업은행, 1분기 순이익 8142억원… 중기 대출 힘입어 '사상 최대'
2025-04-25 16:4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