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험협회장들 올해 3년 임기종료, 보험업계 "관출신 원해요"… 차기 누가 거론되나

권유승 기자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왼쪽), 정지원 손해보험협회장. ⓒ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왼쪽), 정지원 손해보험협회장. ⓒ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

-IFRS17·실손보험 청구간소화 등 아직 해결 과제 산적

-중량감 있는 정치권·관료 출신 인사들 하파명 오르내려

-일각선 '정피아'·'관피아' 논란 우려 시선도

[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양대 보험협회장이 연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보험업계는 어느때보다 후임 협회장으로 정부 관료 출신이 낙점되길 원하는 분위기다.

국제회계기준(IFRS17), 실손의료보험 청구간소화 등 아직 해결되지 않은 보험업계 과제가 적지 않은 만큼 당국과 소통이 원활한 무게감 있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정치권, 관출신 인물들이 점차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가운데 '정피아', '관피아' 논란을 우려하는 시선도 나온다.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과 정지원 손해보험협회장이 각각 오는 12월 8일, 12월 22일에 각각 3년 임기가 만료된다.

업계에서는 문재인 정부 시절 선임된 이들 협회장의 연임 가능성을 낮게 보고있다.

정희수 생보협회장은 3선(17~19대) 국회의원 출신이다. 지난 2018년 12월 보험연수원장을 지낸 후 2020년 생보협회장에 선임됐다.

정지원 손해보험협회장은 금융감독위원회 은행감독과장과 감독정책과장을 거쳐 금융위원회 기업재무개선지원단 단장, 금융서비스국 국장, 한국거래소 이사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에도 차기 협회장 자리에 민간출신 보다는 관출신 등이 오기를 내심 기대하고 있는 모습이다. "보험업계의 현안을 담당하기엔 당국과의 소통이 유리한 관출신 등이 낫지 않겠냐"는 설명이다.

실제 앞서 민간출신이었던 신용길 전 생명보험협회장(34대)은 같은 시기에 회장직을 맡은 금융감독원장 출신인 김용덕 전 손해보험협회장과 무게감이 다르다며 각 업권 협회 수장들을 비교하는 지적들이 일각에서 종종 제기되기도 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민간출신이었던 과거 한 손보협회장은 업계를 대변하기 위한 자동차보험료 관련 회의에 참석하기를 불편해 할 정도로 무게감이 약했다는 후문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생명보험업계가 손해보험업계 보다 규모면에서도 더 큰 산업인데도 불구하고 특히 과거엔 주로 생보협회장이 손보협회장 보다 중량감이 없다는 목소리가 많았다"고 토로했다.

◆IFRS17 등 해결 과제 산적…정·관 출신 인사 하마평

우선 차기 협회장들이 당면할 업계의 과제로는 올해부터 도입 된 IFRS17이 거론된다.

올해 1분기 IFRS17 도입에 따른 보험사들의 실적 부풀리기 논란이 발생한 가운데, 보험사 실적에 반영하는 계리적 가정 등에 대한 IFRS17 관련 보험업계와 당국과의 조율이 아직까지도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IFRS17이 현재 초기 단계인 만큼 자리를 제대로 잡기까지는 당국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세간의 이목을 받은 실손보험 청구간소화 이슈도 아직 끝나지 않은 사안이다.

14년째 공회전이었던 실손보험 청구간소화 보험업법 일부개정안이 지난 6일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의료계와 보험업계는 관련 '중계기관' 지정을 놓고 아직도 이견이 갈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의료계에선 실손보험 청구간소화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이 여전한 상황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선 보험업계를 대변할 수 있는 힘 있는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외에도 실손보험 손해율, 자동차보험료 조정, 단순 보험민원 협회 이관 등의 문제들도 차기 보험협회장들이 직면해야 할 굵직한 사안들로 거론된다.

이에 보험협회장에는 정출신, 관출신 인사들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차기 생보협회장 후보로는 윤진식 전 국회의원, 성대규 신한라이프 의장, 임승태 KDB생명 대표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성대규 신한라이프 의장은 재정경제부, 금융위원회를 거쳐 신한라이프 사장까지 역임한 경험이 있어 민·관의 역량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다.

임 대표 역시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을 거쳐 금융위원회에서 사무처장과 상임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한편 손보협회장으로는 허경욱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입에 오르고 있다. 손보협회는 생보협회장 보다는 뚜렷한 하마평이 적은 상황이지만 관출신 인사가 낙점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일각에선 차기 보험협회장들에 대한 정피아, 관피아 논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관·정피아는 정치인·관료와 마피아의 합성어로 공직 등의 퇴직자가 관련 기업에 재취업해 학연과 지연 등을 이용해 세력을 구축하는 행태를 치징한다. 정부의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과 더해 업계와 관련이 없는 비전문가 인선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앞서 정 생보협회장은 지난 2018년 보험연수원장 선임 당시 '보은 인사'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으며, 생보협회장 선임 때에도 정피아 논란이 일기도 했다.

행정고시 출신인 정 손보협회장 역시 회장 인선 시기에 관피아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문 정부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당시 여당 인사들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권유승 기자
kys@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