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공격적 클라우드 행보… 한국은?
[기획/클라우드 강국 ②] 정부, “클라우드 리더십 안 놓친다”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각 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 정도가 국가 경제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부 차원의 통합추진전략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클라우드’ 구축을 통해 국내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클라우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지난 2009년 12월 30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 행안부 등 3개 정부 부처는 향후 5년 간 약 6100억원을 투입, ‘클라우드 컴퓨팅’을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시키겠다는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을 내놓었다.
올해 들어서는 국내 클라우드 기술 표준 및 법제도 정비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5년 내 중앙행정기관 업무 50% 클라우드로 전환=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주요 정부부처들의 IT자원을 통합 운영하고 있는 행안부 산하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최근 클라우드 전략을 발표하고 ‘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 추진계획’을 수립·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미 통합센터는 지난 2008년부터 47개 부처의 정보자원통합을 운영하고 있지만, 클라우드 인프라 및 IT 거버넌스 체계를 수립해 2015년까지 중앙행정기관 업무의 50%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센터 측은 유닉스 및 상용소프트웨어 기반의 현재의 IT 인프라 구조를 저비용·고효율 구조의 x86서버 및 공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재편할 계획이다.
또한 모바일·원격근무 등 다양한 근무환경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오피스 업무 환경을 행정안전부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하고 단계적으로 확산시킬 예정이다. 통합센터는 올해 약 70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총 366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는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항들이다.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도 공공 전반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각종 프로젝트와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행하고 있다.
미국의 ‘스토어프런트’, 영국의 ‘G-클라우드’, 일본의 ‘가스미가세키 프로젝트’ 등이 대표적이다. 그중에서도 역시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곳은 역시 미국이다. 미국 연방정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美 연방정보, 올해 클라우드 예산만 국내 전체 시장 17배=미국 연방 정부는 지난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친환경 ICT 운영을 통한 총체적인 친환경 경제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연방정부 정보기술 관리의 개혁을 위한 25가지 수행계획 중 클라우드 관련 전략을 구체화한 것이다.
이른바 ‘클라우드 우선 정책’(Cloud First policy)을 통해 미국 정부와 공공기관에 클라우드를 선제 도입함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의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비벡 쿤드라 미국 연방 최고정보책임자(CIO)는 지난해 “데이터센터를 통합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IT자원을 공유해 이를 기반으로 원격 근무를 확산한다면 정부 기관들이 환경보호 책임을 보다 잘 실천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연방정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위해 올해 IT 예산 800억 달러 중 25%에 해당하는 200억 달러를 지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올해 국내 전체 시장(1조 3000억원)의 17배 이상 규모다.
이 200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조달시장을 두고 장비와 솔루션, 서비스 등 관련 IT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이미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정부 기관이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의 EC2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엔 미국 재무부가 중앙 부처 중 최초로 EC2로 이관했다. 우리나라로 치면 방송통신위원회에 해당하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역시 지난해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테레마크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테레마크는 최근 미국 최대 통신사인 버라이즌에 인수됐다).
이밖에도 연방정부포털(USA.gov)와 총무청(GSA), 국방부 정보시스템계획국(DISA)도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구축했다.
또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원(NIST)에서 클라우드 프레임워크 및 SAJACC(Standards Acceleration to Jumpstart Adoption of Cloud Computing) 프로그램을 런칭했다. 이를 통해 올해까지 모든 정부 부처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가이드를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자치 단체로는 뉴욕시가 클라우드 컴퓨팅에 동참했다. 뉴욕시는 올초 IBM과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젝트를 진행해 향후 5년간 1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밝혔다.
◆G-클라우드 내세운 영국…8000개 데이터센터 12개로 통합=영국 정부 역시 새로운 ICT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 초 클라우드 컴퓨팅을 채택했다.
영국정부는 ‘G-클라우드’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센터 통합 및 공공 클라우드 도입 추진을 통한 업무효율성 증대 및 친환경 IT 서비스 환경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일환으로 지난해 10월, 8000개 이상의 정부 산하 데이터센터를 12개로 통합시킨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영국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의 클라우드 접목을 위해 CIO협의회 및 ICT사업자협의회(Intellect) 등과 포괄적인 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영국텔레그래프미디어그룹(TMG)와 브리티시텔레콤(BT)는 이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손잡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 및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그동안 보안상의 문제로 클라우드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지 않던 호주 정부도 클라우드에 한발짝 다가섰다.
최근 호주 정부는 비용, 보안, 유연성, 운영의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최적의 방식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채택한다는 내용의 ‘호주 클라우드 컴퓨팅 전략 초안’을 발표했다.
이를 살펴보면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를 조성한 후, 공공 클라우드를 채택, 범정부적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전략으로 이는 호주 정보관리청(AGIMO)에서 총괄하고 있다.
이미 호주 국세청과 재무부, 통계청 등 몇몇 산하기관들은 이미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향후 5년 간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민들을 대상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는 일본과 중국, 싱가포르 등의 파워가 거세다.
◆일본·중국, 아시아 클라우드 시장 패권 노린다=우선 일본 총무성이 ‘가스미가세키 프로젝트’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의 잠재력과 파괴력을 인정하면서 향후 IT자원이 미국에 집중되고 범지구적 주요 정보 및 기능들이 미국의 IT기업 데이터센터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자국 내 대규모 데이터센터유치 및 클라우드 특구 지정 등 국가차원의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미 총무성과 경제산업성이 민관 합동연구 진행을 통해 216억엔의 예산을 책정했다.
또한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클라우드 컴퓨팅과 일본의 경쟁력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까지 총 40조엔 이상의 신규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때문에 NTT는 향후 3년간 450억엔을 투자할 계획을 밝혔고 후지쯔와 히다치 등 업체들도 대규모 투자계획을 밝혔다. 이밖에 큐슈, 츠쿠바 대학 등에서도 클라우드 관련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IT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 친환경 교통정보시스템(ITS)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융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다.
이밖에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 표준화 추진, 스마트 클라우드 컨소시엄 구성 등을 구성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있다.
중국 정부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전략 신흥 산업의 하나로 확정했다.
지난해 10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항조우, 우시 등 5개 도시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발전 시범구역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이후 충칭·산둥·둥잉·포산 등 다른 지방 정부도 클라우드 컴퓨팅 육성 계획을 마련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중국 베이징시 외곽에 짓고 있는 60만 평방미터 규모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센터는 ‘데이터센터 타운’으로 부를 만한 규모이며, 우시 지역은 경제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프트웨어 파크를 건립하면서 파크 내 입주사를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를 지난해 구축했다.
우시시나 상하이 이외에도 허베이 랑팡 지역에 64만 6000㎡(약 20만평) 규모의 IBM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데이터센터 건립에 착수했으며, 이는 미국 펜타곤 규모에 버금한다. 완공은 오는 2016년으로 예정돼 있다.
◆데이터센터 ‘도시’ 건립하는 중국…클라우드 집중 육성=중국은 기존 데이터센터의 본토 설치 의무 조항을 완화하고 나섰다. 클라우드 기업 유치를 위한 전향적 정책 변화다. 그만큼 클라우드에 적극적이라는 얘기다. 이에 홍콩은행의 중국 자회사 데이터센터가 중국 본토가 아닌, 홍콩에 구축될 수 있게 됐다.
이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육성은 중국이 기술 추격자에 머무르지 않고 선진국과 경쟁하는 IT 분야도 생기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강하게 드라이브 하고 있다.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연평균 90% 이상 성장해 오는 2012년 10조원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싱가포르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업체들에게 가장 각광받는 국가다.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대부분이 아시아태평양 시장 공략을 위해 싱가포르에 관련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건립했거나 건립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싱가포르 정부는 오는 2013년 데이터센터파크를 완공, 해외기업을 유치한다는 전략이다. 이미 IBM과 델, 아마존과 같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건립했으며, 조만간 인도 타타와 일본 후지쯔 등도 동참할 계획이다.
이처럼 각 국가가 추진 중인 클라우드 기본 전략은 공공 부문에서 초기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를 유도해 점진적으로 민간 부문으로 확산시키려는 의도다.
공공 부문에서 선제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게 되면, 이는 민간 부문으로도 자연스롭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과거 IPv4에서 IPv6로 전환할 시 OMB(예산관리국)를 통해 정부기관이 IPv6를 도입토록 독려한 바가 있다.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 등 공공 부문에 클라우드 관련 솔루션과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도입하는 한편,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고 있는 보안 측면에서의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비트코인이 불지른 가상화폐 ‘불장’… 금융당국, '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2024-11-15 16: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