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공공SW사업 기상도 ‘흐림’…IT서비스업계 수익성 확보에 집중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IT서비스업체들에게 올해 공공SW시장은 어려운 한해가 될 전망이다.

20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행정자치부가 발표한 ‘2017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 자료에 따르면 올해 공공부문의 총 사업예산은 전년보다 1.7% 증가한 4조757억원으로 집계됐다.하지만 업체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다르다.

전통적으로 공공SW사업은 매년 3월 이후부터 본격화된다. 예산안에 대한 계획은 세워져 있지만 조직개편 및 인사이동 등 내부 조직정비가 이뤄지는 연초에는 사업발주를 꺼리는 분위기 탓이다.

때문에 공공SW사업이 주력인 IT서비스업체들의 경우 지난해 마무리했어야 하는 사업계획을 1분기까지 수립하기도 한다. 올해 사업계획에 대해 “3월 이후에나 공개가 가능하다”라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올해 공공SW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시련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되면서 우리나라는 5월 대선이라는 정치적 풍랑을 맞이하게 됐다. 통상 역대 정권의 정권 말기 공공SW 발주 관행을 들여다보면 예정된 사업은 발주되지만 시기는 뒤로 밀리는 경향이 관측된다.

예산은 소모해야 함으로 사업 발주를 없던 것으로 하는 상황이 오지는 않지만 업무상 긴장도가 떨어지면서 사업 집중도가 이전과 다르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여기에 공공SW 시장에 참여하는 업체들의 이익률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주요 IT서비스업걔 최근 매출 및 영업이익 추세
주요 IT서비스업걔 최근 매출 및 영업이익 추세
대기업의 공공SW 시장 진출이 제한된 SW산업진흥법 개정 이후 중견 IT서비스업체들의 수익률 추이를 살펴보면 악화일로를 달리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실제 2015년을 기준으로 공공SW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중견 IT서비스업체들 대부분이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한해 농사를 잘 지었나를 판단하는 영업이익 측면에서 대부분의 IT서비스업체들이 큰 재미를 보지 못했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공공SW사업이 무조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아니라는 점에 업계는 공감하고 있다. 매출 면에선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공공SW사업에서 이익을 남기기가 하늘에서 별을 따는 것 만큼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 IT서비스업체 관계자는 “당초 사업요건에서 새로운 추가요구사안이 나오는 행태가 여전하다”며 “사업수행 관점에서 공공SW사업은 장기적인 고객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해 이러한 요구사항을 들어주지 않을 도리가 없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SW 시장에는 올해부터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참여해 경쟁은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부터 상호출제한기업집단에서 제외된 대기업 계열의 코오롱베니트, 동부, 동양네트웍스가 가세하기 때문이다.

각 사마다 주력으로 하는 공공분야가 다른 만큼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진 않을 것이란 예측도 있지만 정해진 시장에 플레이어가 늘어나는 것에 대해 기존 업체들이 반가워할 수만은 없는 노릇이기도 하다.

하지만 공공SW시장을 외면할수도 없는 노릇이다. 어쨌건 외형을 키우는데 공공SW사업만큼 효과적인 것도 없기 때문이다. 공공SW사업 수주 실적을 바탕으로 일반 기업은 물론 해외시장 진출을 타진하는데도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대형 IT서비스기업에서 중견IT서비스기업으로 옮긴 한 관계자는 “해외시장 진출을 타진할 때 레퍼런스 유무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라며 “이전 직장과 달리 주요한 공공사업에서의 사업수주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올 한해 IT서비스업체들은 매출과 이익 사이에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순간 삐끗하면 나락으로 빠져들 수 있다는 전제아래 양질의 사업 수주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업계에서는 이익이 날 수 있는 사업에 업체들이 집중할수록 상대적으로 부실한 사업 계획을 가지고 발주가 진행되는 사업은 시장의 외면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소 SW업체들이 매출 확보 차원에서 수익성을 외면한 채 사업 수주에 달려들 경우 이러한 악습이 반복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도 지적한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