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스마트시티가 뭐지?…SKT, “삶과 기술 융합 도시 생태계”

윤상호
- SKT, 사회안전서비스 이용자 10만명 돌파…‘대기업 중심 中企 참여 모델’ 제안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사물인터넷(IoT)이 삶의 모습을 바꾸고 있다. 복지와 안전 영역이 특히 눈길을 끈다. 치매노인과 유소년이 길을 잃어도 위험한 상황에 빠져도 버튼만 누르면 보호자나 관계당국이 위치와 어떤 상황인지 폐쇄회로(CC)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0년 전 스마트폰 시대를 상상할 수 없었듯 10년 후 스마트시티 시대는 어떤 것을 보여줄까.

14일 SK텔레콤은 서울 중구 삼화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마트시티 현황과 미래를 설명했다.

김성한 SK텔레콤 IoT솔루션사업본부장<사진>은 “2005년 유(U)시티가 인프라 위주였다면 현재 스마트시티는 서비스를 결합 삶과 기술을 융합한 도시생태계”라며 “SK텔레콤은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중심으로 특성에 맞는 단말기를 연계해 교통, 안전, 에너지, 환경, 생활 5개 영역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2015년 부산광역시에서 스마트시티 실증사업을 했다. 지난 2016년부터는 대구 수성구에서 첫 본격 사업을 진행 중이다. 13개 서비스를 구축했다. 지난 9월에는 서울시와 스마트시티 실증사업용 로라(LoRa) 네트워크 무상 제공 계약을 체결키도 했다. 서울시는 올해 4~5개 서비스를 시험 중이다. 내년엔 10개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대표적 스마트시티 서비스 사례는 사회안전망이다. 사용자가 응급호출을 하면 통신사는 지능형 응급호출시스템(ECS)를 통해 ▲음성녹취 ▲응급호출 ▲위치정보 등을 제공한다. 위치정보시스템(GPS)뿐 아니라 무선랜(WiFi), CCTV를 활용 위치정보 사각을 없앴다.

김 본부장은 “응급호출을 위해 사용하는 단말기는 스마트시계 ‘티케어’ 열쇠고리형 ‘키코’ 등이 있다”라며 “교육부, 보건복지부, 검찰청, 경찰청, 지방자치단체 등과 다양한 스마트 사회안전망 기반 안전서비스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SK텔레콤의 ECS와 안전망 이용자는 11월 현재 10만명을 돌파했다. 연내 지자체 CCTV와 경찰청을 연결하는 서비스를 확대 예정이다.

한편 현 정부는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천명했다. SK텔레콤은 스마트시티 사업을 성장동력 중 하나로 육성할 방침이다.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2025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는 3조3000억달러(약 3689조원)다. 국내의 경우 2020년 2조9000억원까지 성장이 점쳐진다 .

김 본부장은 “스마트시티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네트워크 등 전체적인 것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기업이 중심이 되고 중소기업이 파트너로 참여하는 것이 적절한 방향으로 보인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라며 “정부도 소프트웨어진흥법 등 대기업 참여 제한 부분 등은 완화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윤상호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