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

[딜라이트닷넷 창간 9주년] 대형 O2O업체들이 노리는 차세대 먹거리는?

이형두


[IT전문 미디어블로그=딜라이트닷넷] 한국은 정보기술(IT) 강국을 자부한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네이버, 넥센, 엔씨소프트 등 신생 IT 대기업의 등장 이후 성공 사례가 거의 전무하다. 배출한 유니콘 기업도 손에 꼽는다.

이유는 다양하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글로벌 유니콘 기업 동향’ 리포트를 통해 그 이유로 ▲인구 5000만의 작은 시장 규모 ▲스타트업에 친화적이지 못한 규제 ▲투자-회수 생태계의 부재 ▲기업가 정신의 부재 등을 꼽았다. 정리하면 산업 역동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전 세계 유니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은 공유경제지만, 국내엔 규제에 묶여 내세울 만큼 성장한 공유경제 서비스가 없다.

국내 환경에서 연매출 1000억원대를 기록한 스타트업들은 대부분 O2O(Online to Offline) 분야에 속해 있다. 배달, 숙박, 차량 렌트 등 전통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구현한 중개 플랫폼이다. 각 분야 대표기업인 우아한형제들, 야놀자, 쏘카는 모두 지난해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다. 이들은 매년 2배 수준 매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 유니콘은 이들 O2O 업계에서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야놀자는 이제 O2O 업체를 넘어서 글로벌 여가 플랫폼 업체로 윤곽을 잡아가고 있다. 숙박을 기반으로 하되, 인근 지역 정보와 여가문화를 아우르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여행, 여가 활동 정보를 온라인에서 제공하고, 이를 오프라인에 구현한다. 이미 매출 절반이 오프라인 사업에서 나오는 상황이다.


오프라인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는 호텔 프랜차이즈다. 기존에 갖고 있던 ‘호텔야자’ ‘에이치에비뉴’ ‘호텔얌’에 올해 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헤이’를 공개했다. 여기에 지난 9월 부산 경남 지역 프랜차이즈 호텔 브랜드 ‘더블유디자인호텔’을 인수하면서 브랜드가 7개로 늘어났다. 야놀자 앱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수익성 분석에 활용해 승승장구하고 있다. 운영 중인 지점이 200개, 다점포율 43%를 넘었다.

또 다른 신사업은 액티비티다. 액티비티는 테마파크, 수상레포츠, 익스트림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을 포괄하는 체험형 관광 상품을 뜻한다. 숙박 예약 대비 사용횟수가 많고 트래픽 유발효과가 더 크다. 업계에 따르면 시장 규모는 연간 3조5000억원 이상이다. 액티비티 사업 확대를 위한 인수 및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야놀자는 올해 3월 액티비티 플랫폼 ‘레저큐’를 인수했고 소셜 액티비티 플랫폼 ‘프립’에도 투자했다.

글로벌 진출도 활발하다. 2016년 중국 최대 온라인여행사(OTA) 시트립과 손을 잡았고, 올해 3월 일본 라쿠텐과 독점 제휴를 맺었다. 동남아 지역 이코노미 호텔 체인인 ‘젠룸스’에도 인수 조건부로 1500만달러(약 170억원)을 투자했다.

우아한형제들은 1인가구 증가와 배달산업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 약 1600억원, 거래액 약 3조원을 기록했다. 전년 흑자전환에 이어 지난해엔 영업이익도 200억원 수준으로 크게 늘었다.

중국음식, 치킨 등 전통적인 배달음식 외 맛집 음식도 배달해주는 ‘배민라이더스’도 꾸준히 확장 중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서울 전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방 대도시 진출도 타진 중이다. 올해부터 TV 광고 등 마케팅 전략의 초점 역시 ‘수제버거’ ‘빙수’ 등 배달 서비스에 역점을 두고 있다. 최근 경쟁사인 딜리버리히어로 역시 같은 서비스 ‘요기요플러스’를 출시하면서 새로운 경쟁 구도가 마련됐다.


아울러 배달의민족은 미래사업으로 음식배달 로봇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미국 실리콘벨리 ‘베어로보틱스’ 투자를 통해 올해 6월 자율주행 배달 로봇인 ‘딜리’를 처음 선보였다. 충청남도 천안 신세계백화점 푸드코트, 피자헛 목동 중앙점에서 시범 운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같은 레스토랑 배달 연구를 기반으로 2단계 아파트 단지 및 대학 캠퍼스. 3단계 일반 보행로를 포함한 본격 실외환경까지 배달 로봇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상용화까지는 최소 3~5년 이상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배달 로봇 기술이 이미 상당한 수준까지 진척됐다. 인공지능(AI)와 딥러닝을 접목해 신호등을 인식하고 사람 등 장애물을 피해 다닌다. 음식 배달 사업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은 만큼, 대중화될 경우 경비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사람 배달원에 비해 1/5까지 배달 비용을 줄이는 것이 로봇 업계 목표다.

차량공유(카셰어링) 1위 업체 쏘카는 지난 7월 커플 앱 ‘비트윈’ 개발사 VCNC를 인수해 눈길을 모았다. 인수 당시 쏘카는 “VCNC의 데이터 및 기술 기반 역량을 바탕으로 모빌리티 비전과 서비스 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인수된 VCNC 첫 사업은 쏘카 보유차량과 인프라를 활용한 승차공유서비스로 방향타를 잡았다. ‘타다’라는 명칭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준비해 테스트에 들어갔으며, 이달 중 서비스를 공개할 계획이다. 11인승 이상 승합차량으로 기사와 렌터카를 함께 제공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이 경우 운수사업법 예외조항에 해당돼, 현행법에 저촉되지 않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IHS마켓에 따르면 승차공유 관련 사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2025년 2000억달러(약 226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택시업계 등의 반발로 활성화가 더디다.

기초적인 승차공유 서비스인 카풀도 사업 확장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택시업계는 카풀 규제 법안 통과를 위해 거리 투쟁에 나선 상황이다. 택시업계는 지난 4일에 이어 오는 11일에도 카카오모빌리티 사옥 앞에서 2차 시위를 준비하고 있다. 이후 18일엔 광화문에서 택시 종사자 3만명 이상이 참여하는 ‘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 대회’를 열 예정이다. 타다 서비스가 정식으로 공개되면 같은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최근 이재웅 쏘카 대표가 혁신성장본부 공동 민간본부장으로 선임되면서 규제 문제와 관련해 업계와 정부 간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택시업계와 카풀업계 입장을 반영한 승차공유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으나, 논란이 커지자 발표를 미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형두 기자>dudu@ddaily.co.kr

이형두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