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내재화·합작사 ‘확산’…車업체 vs 배터리 제조사 관계, 미래는? [IT클로즈업]

윤상호
얼티엄셀즈 제1공장 공사현장 전경
얼티엄셀즈 제1공장 공사현장 전경
- 車업계, 가격 협상력 확보·안정적 수급 차원 내재화 선언↑
- 배터리 제조사, 거래선 강화 불구 수익성 악화 우려↑


[디지털데일리 윤상호 기자] 전기자동차(EV) 배터리를 두고 자동차 제조사와 배터리 업체 셈법이 복잡하다. EV 배터리는 EV 원가 40% 가량을 차지한다. EV 내재화를 선언한 자동차 제조사가 늘고 있다. 이들이 경쟁력 조기 확보를 위해서는 배터리 업계에 손을 내밀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자동차 제조사와 배터리 제조사 역학 관계가 어떻게 변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 폭스바겐 등 EV 배터리 직접 생산을 하겠다는 자동차 제조사가 증가하는 추세다. GM 처럼 배터리 업체와 합작사(JV, 조인트벤처)를 통해 제품을 공급하는 자동차 제조사도 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국내 3사 EV 배터리 사업은 이제 궤도에 올라간 상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올해, SK이노베이션은 내년 연간 손익분기점(BEP)을 넘을 전망이다. EV 배터리는 우리 경제의 기대주다. 제2의 반도체로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 제조사의 이런 움직임은 좋지 않은 소식이다. ▲시장 축소 ▲기술 유출 우려 상승 ▲이윤 하락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3사는 일단 자동차 제조사의 EV 배터리 내재화가 성장세 둔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제품 개발력과 생산 기술, 생산능력(캐파)을 모두 확보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제조사 내재화는 가격 협상력 확보와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것으로 평가했다.

삼성SDI 경영지원실 김종성 부사장은 “테슬라와 폭스바겐의 배터리 내재화 발표는 배터리 안정적 수급의 중요성을 의미한다”라며 “배터리 생산은 오랜 기간 개발이 필요하고 양산에 대한 노하우가 필요하다. 내재화 선언을 한 업체 역시 배터리 업체와 협력을 유지할 수 밖에 없다”라고 분석했다.

LG에너지솔루션 경영전략총괄 장승세 전무는 “시장이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안정적 수급 목적으로 자체 생산을 확대할 수 있다”라며 “다만 신규업체가 진입하기에는 여러 진입장벽이 있다. 선두권 배터리 업체와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SK이노베이션 윤형조 배터리기획실장은 “수급 안정화와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진입을 추진한다고 보고 있다”라며 “배터리 업계의 위기로 보는 시각 있지만 오히려 기회라고 보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합작사에 대해선 입장차가 있다. 합작사는 고객사 확보 차원에서는 긍정적이다. 기술과 제조 노하우를 상대방에게 넘겨줄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이다.

국내 업체는 LG에너지솔루션이 GM과 얼티엄셀즈를 만들었다. 얼티엄셀즈는 GM 미국 EV 생산라인에 제품을 공급한다. 2022년 제1공장이 생산을 시작한다. 35기가와트시(GWh) 규모다. 같은 규모 제2공장을 연내 착공 예정이다. 삼성SDI는 합작사가 없다. SK이노베이션은 중국 업체와 협력 중이다. SK이노베이션은 중국 외 업체와도 합작사를 검토하고 있다. 업계는 SK 최태원 회장이 문재인 대통령 미국 방문에 동행하는 것을 주목했다. 배터리 합작사 설립 발표가 유력하다고 전망했다.

SK이노베이션 윤형조 실장은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을 구체화하면 배터리 제조사는 안정적 판매처를 확보하고 투자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라며 “배터리 공급 외 추가 협력을 모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제안을 받고 있으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동차 제조사와 배터리 업체 관계가 반도체 설계(팹리스) 회사와 수탁회사(파운드리) 관계처럼 갈 수도 있다는 예상도 있다. 현대기아차 BMW 포드 등은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자체 연구개발(R&D)을 강화했다. 설계는 이들이 생산은 배터리 제조사가 하는 방식이다.

업계 관계자는 “EV와 EV 배터리 시장은 개화 단계”라며 “어떤 산업이든 시장 초기에는 다양한 경쟁과 협력 방안이 공존한다. 점차 경쟁력을 확보한 방식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윤상호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