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

‘지역채널 커머스’ 전면 허용 난항...이유는?

이안나
- "지역경제 활성화 등 공익적 측면" vs "홈쇼핑·일반 PP 입지 약화"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케이블TV 사업자들에 커머스 방송을 허용하는 지역채널 커머스 전면 도입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소상공인 판로를 확대하고 지역채널 콘텐츠를 활성화한다는 목적이지만 이 사업이 확장할 경우 홈쇼핑 등 일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입지가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 때문으로 보인다.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에 따르면 지역채널 커머스 허용과 관련해 “의견수렴 결과 반대하는 곳들이 있어 어떤 프로세스로 갈지 정리를 해야 한다”며 “아직 최종적인 판단은 안 된 상태”라고 전했다.

일부 케이블TV에선 지난 6월 통과된 ‘ICT 규제 샌드박스(실증특례)’를 통해 이미 지역채널 커머스 방송 서비스를 하고 있다. 단 1일 총 3시간 안에서 3회 이내, 정부‧지자체 주관 소비촉진행사 중 과기정통부 장관이 인정하는 행사에 한정해 진행이 가능하다.

실증특례는 2년간 유효하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기한 없이 전면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는데 의지를 보여왔다. 개선안으로 ▲해설·논평 허용 및 지역채널 커머스 방송 허용(1안)과 ▲지역채널 커머스 방송허용(2안)을 만들었다. 홈쇼핑 채널처럼 24시간 운영하는 방식은 제외하며 제한적 조건 아래 허용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소상공인 판로를 확대하고 지역채널이 지역 친화매체로서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방송 범위 확대 방안을 검토하고 공청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글로벌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진입과 국내 인터넷TV(IPTV) 영향력 확대로 케이블TV는 최근 5년간 유료방송 가입자 수가 지속해서 내리막을 걷고 있다. 2017년 IPTV가 유료방송 점유율 50%를 넘어선 이후 IPTV와 케이블TV 가입자 수 격차는 지난해 하반기 541만명으로 커졌다. 가입자 수 감소는 수익 악화로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TV홈쇼핑 업계는 여전히 우려를 표하고 있다. 정부 취지엔 공감하지만 정보기술(IT)·유통업계 라이브커머스 활성화로 경쟁이 격화한 상황에서 지역채널 커머스까지 들어서면 입지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외 지상파 녹화방송을 제공하는 일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도 인포머셜 광고(정보성 광고) 수요가 줄어들 수 있어 반대 의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홈쇼핑 업계 관계자는 “지역채널 커머스 성과를 내려면 우선 시청자 접근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채널을 앞쪽으로 가져오면 홈쇼핑과 일반 PP가 모두 영향을 받는다”고 전했다.

케이블TV업계선 지역채널에서 커머스를 허용해도 홈쇼핑 형식과 동일하지 않고 상품 판매도 지자체 상품에 한정돼있어 홈쇼핑 시장을 위협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지역채널 커머스로 언급되는 포맷은 10~15분 숏폼 콘텐츠로 지역 중소상공인이 직접 출연해 제품 소개, 비프라임 타임대 편성을 특징으로 한다. 목적 자체가 상품 판매를 통한 이익 극대화보다 콘텐츠 다양화 등 공적 측면에 있다는 설명이다.

케이블TV업계 관계자는 “지역특산물 위주인데다 이미 유튜브 등으론 진행하고 있고 이를 가공해 방송으로 내보내는 방식이라 지역민들에게 주는 혜택이 더 크다”며 “지역채널 커머스 허용이 늦어지고 있긴 하지만 강하게 반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안나
anna@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