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韓 배터리 소재·장비 기술·인력 유혹 '노골화' …업계, "정부 대책 시급"

김도현
- 해외 업체, 노골적으로 기술 요구·영입 제안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국내 배터리 3사를 비롯한 관련 기업 위상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10년 넘게 경험을 쌓아온 우리나라의 노하우를 체득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문제는 단순 협업 이상의 요구가 동반된다는 점이다. 업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핵심 기술 보호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배터리 소재와 장비업체 해외 고객사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배터리 장비사 관계자는 “중국, 유럽 등 배터리 신생 업체들의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 특히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전체 공정을 맡기는 ‘턴키 수주’ 요청이 많다”고 말했다.

베트남 빈패스트를 비롯한 후발주자는 배터리 공장을 운영해본 적이 없다. 이 때문에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이 쓰는 장비를 그대로 도입하는 추세다. 국내 장비업체의 고객사 다변화, 매출 증대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노골적으로 기술 이전을 요구하거나 직간접적으로 인력을 빼가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다른 관계자는 “현장 지원에 투입된 직원들이 장기간 상주해주기를 바라면서 난감한 요청까지 하는 것으로 안다. 일부는 스카우트 제의까지 받았다”고 전했다.

이미 스웨덴 노스볼트, 중국 헝다 등에 한국 배터리 인력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다. 과거 배터리 제조사 임직원이 영입 대상이었다면 소재와 장비 회사로 범위를 넓어졌다. 양극재와 전공정 설비 기업 등이 타깃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이 각각 미국 제너럴모터스(GM), 포드와 합작사(JV)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기술 정보를 공유해달라는 요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낮은 2차 협력사는 유출 우려가 더 큰 상황이다.

배터리 소재업체 관계자는 “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에는 쉽지 않은 문제다. 정부와 협회 등 지원이 동반돼야 기술과 인력 유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