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대학 정원 확대 능사 아니야 - 반도체 생태계 적절한 이윤 배분 등 구조 개선 ‘우선’
[디지털데일리 윤상호 기자] 정부가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 각각 1만명 증원을 추진 중이다. 이달 초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재 양성을 주문한 후 바삐 움직이는 모양새다.
인력이 모자라는 분야는 비단 반도체만이 아니다. 디스플레이 배터리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 분야 역시 대학 정원을 늘리면 문제가 해결될까.
지난 5월 기준 우리나라 청년 실업률은 7.2% 실업자는 32만명이다. 아무리 학과를 만든다고 반도체 업계 인력난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만 사람을 구하는 것이 아니다. 더구나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사람 구하기 어려운 시절이다. 반도체 생태계 전체 급여 등 근무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소용없다.
대학 정원 확대 보다 서둘러야 할 것은 우리나라 사회 및 교육 구조 정비다. 반도체 생태계 전체가 적절한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또 이 이윤을 구성원과 제대로 나눠야 한다. 조직문화 개선 등 MZ세대에 소구할 수 있는 매력이 필요하다. 교육 과정도 손을 봐야 한다. 융합형 인재를 키우기 위한 기본 교육과 실무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심화 과정을 적적히 배분해야 한다.
삼성과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삼성청년소프트웨어(SW)아카데미(SSAFY)’ 사례를 참고할 만하다. 2018년 시작했다. 교육과정은 1년. 이달까지 6기 3678명이 수료해 2770명이 취업했다. 취업자 중 35%는 SW 비전공자다. 특정 지역에만 치우치지도 않았다. ▲서울 ▲대전 ▲광주 ▲구미 ▲부울경 등 전국 5개 지역에서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비는 무료다. 오히려 매달 100만원 교육지원금을 준다. SSAFY 출신을 채용 과정에서 우대하는 기업은 120개를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