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심하니 돈을 못버네”…“K-OTT 글로벌화 지원 절실”
[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시장은 커졌는데 성장은 둔화돼 있다. 성장은 둔화되는데 경쟁은 갈수록 심해진다. 경쟁이 심해지니 수익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다름아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대한 얘기다. 국내외 불문 OTT 시장은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최근 경쟁이 치열해지며 가입자 확보가 어려워졌고 이는 결국 수익 문제, 달리 말하면 사업자들의 생존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거대 OTT 넷플릭스에 맞서 K-OTT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이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오는 이유다.
이수엽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은 18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내 OTT의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한 정책개선방안’ 주제 포럼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OTT 구독자 규모는 유료 TV 가입자 규모를 추월했지만 동시에 글로벌 SVOD(구독형VOD) 성장률은 2020년 36.4%에서 2026년 4.6%가 될 전망이다. 시장 규모는 커졌지만 성장이 점차 둔화하는 추세라는 의미다.
성장은 둔화되는데 경쟁은 심해지고 있다. 2019년 이후 애플TV플러스, 디즈니플러스, 파라마운트플러스 등이 등장하며 경쟁이 치열해졌고, 넷플릭스는 1위 사업자임에도 글로벌 시장 점유율과 오리지널 콘텐츠 수요를 지속적으로 잃고 있는 상황이다.
경쟁은 심화되는데 수익은 개선되지 않는다. 주요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에서 D2C 수익을 낸 것은 2022년 넷플릭스가 유일하다. 한국의 경우 적자로 난리다. 국내 사업자 영업적자는 2020년 385억원에서 2022년 2964억원으로 커진 상태다.
이처럼 국내 사업자들의 적자폭이 늘어나는 이유는 그만큼 콘텐츠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국내 사업자의 콘텐츠 투자액은 6720억원으로 2020년 대비 3.2배 증가했으며 그 규모도 넷플릭스(8000억원 추정)에 못지 않다.
이 연구위원은 이 같은 수치들을 들어 국내 OTT의 위기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글로벌 진출과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진흥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OTT는 자국 시장 효과를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선점해 성장 둔화에 대응할 여력이 있는 반면, 협소한 자국 시장을 글로벌 사업자가 선점한 한국에선 사업자의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다”며 “따라서 국내 사업자가 자국 시장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경쟁을 지속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정책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국내시장 육성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동시에 규제 중심에서 진흥 중심으로 또 콘텐츠와 플랫폼 중심으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그 일환으로 ‘OTT 구독료 소득공제 도입’이 예로 제시됐다. 현재 문화비 소득공제는 그 대상이 도서·공연·박물관·미술관·종이신문·영화에 한정돼 있는데, OTT를 포함하는 제도 개선이 이뤄지면 구독료 부담 경감에 따른 가입자 증가로 국내 시장 규모 확대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민간 투자에 대한 세제 및 금융지원의 중요성도 피력했다. 최근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가 확대됐지만 현행 제도 하에서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사만 세제혜택을 받는 구조로, 콘텐츠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공감대가 이어졌다. 사업자 입장을 대변한 박종환 티빙 국장은 OTT에 대한 일부 규제 움직임에 우려를 표했다. 박 국장은 “단순히 OTT가 대세라는 시각만으로 국내 OTT에 부담이 될 만한 규제 움직임이 엿보인다”며 “오히려 사업자들이 자생적으로 가입자를 늘리고 사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줬으면 한다”고 언급했다.
노동환 웨이브 리더는 “최근 OTT로 방송되지 못하는 콘텐츠가 계속 창고에 쌓이고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 의미를 잘 생각해 봐야 한다”며 “시장에 유통되지 못한 콘텐츠들이 내년에 어떻게 될까, 글로벌 사업자들에 헐값에 IP(지식재산권)를 양도하게 되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종합적으로 국내 플랫폼과 콘텐츠가 상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정책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임정수 서울여대 교수는 여러 방법론 중 “소득공제의 경우 금액 자체도 크지 않고 이용자들이 1년 구독료를 내는데 소득공제를 과연 염두에 둘까”라며 “정부 추진 정책으로서 문화 소비 촉진 차원은 있지만 OTT 사업자에 대한 지원으로서는 조금 다른 맥락이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2024 IT혁신상품] AI 협업부터 비정형데이터 보호까지…지란지교그룹 '각개약진'
2024-12-19 18:33:01비트코인, 1억5000만원대 유지…RWA NOVA 코인, 비트마트에 신규 상장
2024-12-19 18:06:07'계엄군 점거' 서버 살펴본 선관위 보안자문위…"침입 흔적 없다"
2024-12-19 17:56:25[현장] 티빙·웨이브 합병 두고 CEO별 온도차…"주주 동의 필요 vs 無 관여"
2024-12-19 17:13:57[DD퇴근길] 갈길 먼 AI 기본법…바디프랜드, '가구' 선보인 이유는
2024-12-19 16:5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