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취재수첩] 유튜브·넷플릭스가 세계 통일한다면

이대호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유튜브·넷플릭스 등을 앞세운 전 세계 온라인동영상(OTT) 플랫폼 패권 전쟁이 사실상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곳곳에서 국지전이 진행 중이나 버티고 있는 국가들의 상황이 좋지 않다.

22일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주최의 ‘디지털 기술 패권 전쟁과 자국 플랫폼의 가치’ 세미나 자료를 보면 세계 주요 52개국의 자국 OTT 플랫폼 점유율을 조사한 자료에서 대부분 국가가 0%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OTT 플랫폼에 시장 전반이 잠식당했다는 얘기다. 점유율 0%대에서 자국 플랫폼이 되살아나거나 자리잡기는 불가능에 가까워 보인다.

52개국 중 단 6곳이 자국 OTT 플랫폼 점유율이 두 자릿수를 차지했다. ▲미국(98.93%) ▲중국(93.74%) ▲러시아(48.00%) ▲한국(30.98%) ▲일본(29.66%) ▲체코(16.44%) 순으로 조사됐다. 이 중 미국과 중국은 논외로 봐야 한다. 미국은 유튜브·넷플릭스의 본진이고 중국은 체제 안정을 위해 글로벌 플랫폼을 차단했다.

그렇다면 4개국만이 미국 주도의 글로벌 OTT 플랫폼 패권 전쟁에서 살아남은 셈이다. 물론 앞으로 시장 지형이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 긍정적인 방향은 아니다. 남은 4개국도 자국 플랫폼이 점차 열세에 놓일 수 있어서다.

한국만 보면 자국 플랫폼의 위기가 분명해 보인다. 국회와 정부가 국내외 기업간 역차별적인 시장 환경을 개선하기보다 더욱 심화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OTT 플랫폼에만 걷는 연간 수십,수백억원의 망 사용료는 물론이고 글로벌 플랫폼을 잡자고 도입하는 규제가 국내 기업만 옥죄는 결과를 낳을 우려도 제기된다. ‘n번방을 잡지 못하는 n번방 방지법’은 최근 사례다. 국내 플랫폼에게만 가혹한 부담을 늘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는 10월 국정감사에선 역차별 대안 마련도 쉽지 않아 보인다. 일각에서 추미애 검색 오류를 두고 조작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감 증인 소환 1순위가 포털 대표로 꼽힌다. 정쟁으로 얼룩진 과방위 국감이 올해도 재현될 모양새다.

OTT도 검색 시장에서도 자국 플랫폼이 버티고 있는 국가는 한 손에 꼽는다. 한국이 대표적 국가다. 자유경쟁 체제에서 국내 기업들이 고군분투한 결과다. 이런 가운데 국회와 정부가 자국 플랫폼을 밀어주지는 못하더라도 앞길을 막거나 홀대하는 일은 있어선 안 될 것이다.

학계 인사는 자국 콘텐츠 플랫폼은 해당 국가의 문화적 가치와 정체성을 보호할 수 있다고 봤다. 글로벌 플랫폼이 개별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에 신경 쓸 리는 만무하다. 결국 자국 플랫폼의 보호와 육성은 우리 미래 세대를 위한 일이기도 하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이대호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