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취재수첩] 정부, 디스플레이 지원 서둘러야

정혜원
- 디스플레이도 국가 공급망 차원에서 접근해야


[디지털데일리 정혜원 기자] “4차산업이 발전할수록 디스플레이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다. 제품의 ‘눈’에 가까운데, 없으면 얼마나 불편한지 잘 알지 않나. 그런데도 관심이 너무 적다.”

디스플레이업계 관계자는 정부 지원이 부족한 현실을 토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디스플레이산업의 중요성을 정부가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것이다.

반도체처럼 디스플레이산업도 공급망 안보 차원에서 다뤄져야 한다. 업계 전문가는 “중국에 디스플레이산업 주도권을 내주게 되면 세계 주요 IT제품 공급망에 대해 중국 정부의 통제가 가능해진다”며 “한국이 손을 놓게 되면 세계적으로 심각한 영향이 뒤따를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디스플레이가 대부분 IT기기와 가전에 탑재되므로 전방산업 공급망까지 위태로워지는 것이다. 한·중 양자 대결 구도에서 한국이 물러서게 되면 중국이 공급망을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디스플레이는 스마트 가전이나 자동차, 확장현실(XR) 로봇 등 새로운 시장으로 발을 넓히고 있다. 4차산업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도를 높이고 있다.

수출 및 경제 효과도 크다. 지난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수출액은 약 214억달러, 패널 및 전후방산업에서 창출하는 매출을 포함하면 매년 1500조원 규모에 달한다.

하지만 여전히 디스플레이산업의 존재감이 다른 산업에 비해 밀리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이 발효됐지만 결국 디스플레이산업은 제외됐다.

중국은 그사이 한국과 격차를 점차 좁히고 있다. 이미 액정표시장치(LCD)는 중국이 최대 생산국가다. 시장조사기관 DSCC는 올해 중국의 LCD 생산 점유율이 절반을 훌쩍 넘는 67%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기술 주도권을 쥐고 있고 시장도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디스플레이 전체 시장에서는 LCD 비중이 크다.

디스플레이산업은 대표적 장치산업이다. 시설투자가 곧 사업경쟁력이 된다. OLED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공정 개발과 함께 생산능력(캐파)를 확대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업계는 투자 확대에 소극적이다. 막대한 정부보조금을 받고 있는 중국업체들과 대결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는 데는 막대한 위험요인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최근 뒤늦게 디스플레이 산업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에 추가 포함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디스플레이산업을 국가 첨단전략 기술로 지정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첨단전략 기술로 지정되면 연구개발과 시설 투자 시 대기업은 최대 40%까지, 중소기업은 50%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는 반도체·배터리·백신 등 3개 사업 분야만 포함됐다.

첨단전략 기술 지정 시 부수 효과도 기대된다. 반도체 인력이 디스플레이 인력을 흡수하면서 인력난은 디스플레이업계로 확산되고 있다. 첨단전략 기술로 지정되면 학계 및 학생들에게 해당 산업이 갖는 무게가 달라진다. 연구개발이 확대되고 학생들 선호도도 높아질 수 있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정부는 디스플레이산업을 국가 첨단전략 기술로 지정해 업계 시설투자와 연구개발, 시장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어 내야 할 때다.
정혜원
won@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